지난 호에 이어진다. 子張의 질문에 응해 공자는 五美를 높이고 四惡을 물리치면 政事에 종사할 수 있다고 대답하였는데, 자장이 五美에 대해 물었으므로 그 내용을 설명했다. 그런데 다시 子張이 五美의 惠而不費란 무슨 뜻이냐고 묻자, 공자는 五美 전체에 대해 敷衍(부연)하였다. 위는 그 가…
지난 호에 이어진다. 子張이 어떻게 해야 政事에 종사할 수 있느냐고 묻자 공자는 五美를 높이고 四惡을 물리치면 된다고 말했다. 자장이 五美란 무엇이냐고 묻자 공자는 그 내용을 자세하게 설명했다. 不費는 자신의 재산을 낭비하지 않음이다. 勞而不怨은 ‘子張’편 제10장에서 子夏가 위정자…
‘논어’ ‘堯曰’편 제2장은 子張이 공자에게 어떻게 해야 政事에 종사할 수 있느냐고 묻자, 공자가 그 방도를 자세하게 일러주는 내용이다. 공자는 五美를 높이고 四惡을 물리치면 政事에 종사할 수 있다고 개괄적으로 말했다. 尊은 높여 받든다는 말이다. 遵(준)으로도 쓴다. 屛은 除去(제거…
‘논어’ ‘堯曰(요왈)’편 제1장의 마지막으로, 제왕의 도를 말했다. 처음의 寬則得衆, 信則民任, 敏則有功 세 구절은 ‘陽貨(양화)’편의 ‘子張問仁(자장문인)’ 章(장)에서 공자가 仁에 대해 말한 내용과 겹친다. 그래서 세 구절은 衍文(연문·군더더기 어구)으로 간주하기도 한다. ‘陽…
‘堯曰’편의 제1장으로 지난 호에서 이어진다. 주나라 武王의 政事를 서술함으로써 정치의 요체를 말했다. 이 글은 ‘서경’ ‘武成’편에서 ‘重民五敎(중민오교)하되 惟食喪祭(유식상제)라 하니라’라고 해서 ‘백성의 五敎(五倫)를 중히 여기되 식량과 상례와 제례를 함께하였다’고 한 말과 유…
‘堯曰’편의 제1장으로 지난 호에 이어진다. 여기서는 주나라 武王의 초기 政事를 서술함으로써 정치의 요체를 말하고 있다. 興滅國은 멸망한 나라의 자손을 찾아내어 後裔(후예)로서 부흥시켜 줌을 말한다. 繼絶世는 本宗의 자손이 끊어진 집안을 부흥시켜줌을 말한다. 逸民은 은둔해 있는 어진…
지난 호에 이어진다. 앞서는 요 임금의 禪讓(선양) 때 訓辭(훈사), 탕 임금의 罪己(죄기), 武王의 은나라 정벌 때 誓約(서약)을 서술했다. 여기서는 성군이 정치를 구체적으로 실행할 때 謹權量, 審法度, 修廢官을 우선 중시했다는 점을 말했다. 이 이하를 武王의 정치에만 해당한다고 풀…
‘堯曰(요왈)’편의 제1장으로 이번에는 武王이 은나라 紂(주)를 정벌할 때 맹세한 말 가운데 일부이다. 무왕의 맹서는 ‘상서’의 周書 ‘泰誓(태서)’에 나온다. 주자에 따르면 周親은 지극히 가까운 친척이란 뜻으로 은나라 紂(주)에게 微子(미자) 箕子(기자) 比干(비간)과 같이 至親(…
‘堯曰(요왈)’편의 제1장으로 이번에는 武王 때의 일을 서술했다. 무왕이 은나라 紂(주)를 정벌하고 하늘에 맹세한 말 가운데 일부이다. 무왕의 맹세는 ‘상서’의 周書 ‘武成(무성)’에 나온다. 周有大賚는 ‘武成’에는 ‘大賚于四方’이라 되어 있다. 이에 대해서는 하늘이 주나라에 부여한…
‘堯曰(요왈)’편의 제1장으로 湯王의 말이 이어진다. 이것도 ‘상서’ 가운데 商書 ‘湯誥(탕고)’에 나오는 말을 끌어온 것이다. 앞서 탕왕은 夏나라 桀(걸)을 추방하고는 죄 있는 걸을 내가 감히 용서해 줄 수 없고 천하의 어진 이는 내가 감히 엄폐하지 못하되 그 簡閱(간열)은 상제의 …
‘堯曰(요왈)’편의 제1장이되 이번에는 은나라 湯王의 말이다. ‘상서’ 가운데 商書 ‘湯誥(탕고)’에 나오는 말을 끌어왔다. 탕왕이 夏나라 桀(걸)을 추방하고 제후에게 포고했다는 말이다. 小子는 하늘에 대해 자신을 낮추어 말한 것이다. 履는 탕왕의 이름인 듯하다. 敢은 겸손한 뜻을 …
‘논어’ 20편의 마지막 ‘堯曰(요왈)’ 편의 제1장은 전설상의 성군인 二帝三王의 정치에 대해 서술했는데 그 가운데 첫 부분이다. ‘요왈’ 편은 세 개의 章에 불과하고 체제도 다른 편과 다르다. 그래서 ‘논어’의 본편이 아니라는 설이 유력하다. 하지만 ‘논어’의 첫 번째 ‘學而’ 편이…
‘논어’ ‘子張’의 제25장에서 자공은 공자를 숭앙하여 스승에게 미칠 수 없음은 마치 하늘을 사다리로 오를 수 없는 것과 같다고 했다. 그리고 그 이유를 위와 같이 부연했다. 夫子之得邦家者는 ‘공자가 나라를 차지해 다스린다면’이라고 가설한 말이다. 所謂는 옛말의 인용 사실을 표시한 …
子貢의 공자 숭배는 점점 강도가 높아진다. ‘논어’ ‘子張’의 제23장에서는, 공자의 담장은 서너 길 높이라서 문을 통해 들어가지 못하면 종묘의 아름다움과 백관의 성대함을 볼 수가 없다고 했다. 제24장에서는 사람이 해와 달과의 관계를 끊으려 한다고 해서 해와 달의 빛에 손상을 입힐 …
공자의 시대에는 공자가 많은 제자의 존경을 받는 데 대해 의문을 품거나 심지어 시기하는 인물이 꽤 많았던 듯하다. ‘논어’ ‘子張’의 제23장과 제24장에서는 노나라 대부 叔孫武叔이 공자를 험담했다. 오늘 나오는 제25장에서는 陳子禽(진자금)이 子貢의 공자 존숭 태도에 의문을 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