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재 포인트

연재

漢字 이야기

기사 1,379

구독 14

날짜선택
  • [한자 이야기]<846>天下有道면 則禮樂征伐이 自天子出하고 天下無道면…

    [한자 이야기]<846>天下有道면 則禮樂征伐이 自天子出하고 天下無道면…

    ‘논어’ ‘季氏(계씨)’의 두 번째 장은 공자의 이 말로 시작한다. 禮樂은 정책 일반을 가리키고 征伐은 악한 자를 誅殺(주살)하고 責望(책망)하는 일을 가리킨다. 예부터 예악을 제정하고 정벌을 명하는 일은 천자의 권한이라고 여겨져 왔으므로 공자는 이렇게 말한 것이다. 이어 공자는 예…

    • 2010-03-04
    • 좋아요
    • 코멘트
    PDF지면보기
  • [한자 이야기]<845>吾恐季孫之憂가…

    [한자 이야기]<845>吾恐季孫之憂가…

    ‘논어’ ‘季氏(계씨)’의 첫 장은 공자의 이 말로 매듭지어진다. 공자는 노나라 대부 季氏가 전臾(전유)를 정벌하려고 계획할 때 제자 염有(염유)와 季路가 저지하지 못한 사실을 비난하고 爲政者(위정자)는 境域(경역) 안의 文德을 진흥해서 遠人이 信服(신복)하도록 해야 한다고 가르쳤다.…

    • 2010-03-03
    • 좋아요
    • 코멘트
    PDF지면보기
  • [한자 이야기]遠人이 不服이면 則修文德以來之하고 旣來之면 則安之니라

    [한자 이야기]遠人이 不服이면 則修文德以來之하고 旣來之면 則安之니라

    고려 초에 大學士와 學士들이 임금에게 經書를 講論(강론)하던 곳을 文德殿(문덕전)이라 했다. 1136년(인종 14)에는 修文殿(수문전)이라 고쳤는데 그때부터 고려 말까지 右文館(우문관)이라 했다가 다시 수문전이라 하는 등 명칭이 여러 번 바뀌었다. 文德殿이나 修文殿이라는 이름은 모두 …

    • 2010-03-02
    • 좋아요
    • 코멘트
    PDF지면보기
  • [한자 이야기]<843>丘也聞호니 有國有家者는 不患寡而患不均하며…

    [한자 이야기]<843>丘也聞호니 有國有家者는 不患寡而患不均하며…

    지난 호에 이어진다. 공자는 염有(염유)와 季路가 노나라 대부 季氏의 가신으로 있으면서 전臾(전유)를 정벌하려고 하는 계씨의 모의에 가담한 사실을 알고 그들을 꾸짖었다. 그리고 정치가들은 영토와 인구를 늘리려 하지 말고, 상하의 계급이 제자리를 지키고 각 계층의 사람들이 조화를 이루며…

    • 2010-03-01
    • 좋아요
    • 코멘트
    PDF지면보기
  • [한자 이야기]<842>孔子曰求아 君子는 疾夫舍曰欲之요 而必爲之辭니라

    [한자 이야기]<842>孔子曰求아 君子는 疾夫舍曰欲之요 而必爲之辭니라

    지난 호에 이어진다. 노나라 대부 季氏가 전臾(전유)를 정벌하려고 하자 계씨의 가신인 염有(염유)와 季路가 공자에게 그 사실을 알렸는데 공자는 두 사람이 계씨를 저지하지 못한 것을 질책했다. 그러자 염유는 전유가 要害地(요해지)인 데다 계씨의 영지인 費(비)에 가까우므로 지금 정벌하지…

    • 2010-02-26
    • 좋아요
    • 코멘트
    PDF지면보기
  • [한자 이야기]<841> 且爾言이 過矣로다…

    [한자 이야기]<841> 且爾言이 過矣로다…

    지난 호에 이어진다. 노나라 대부 季氏가 전臾(전유)를 정벌하려고 하자 계씨의 가신인 염有(염유)와 季路가 공자에게 알렸다. 공자는 계씨가 노나라의 社稷之臣(사직지신)인 전유를 정벌해서는 안 된다고 하면서 그 일을 저지하지 못한 염유를 꾸짖었다. 염유는 자기의 뜻이 아니라고 변명했지만…

    • 2010-02-25
    • 좋아요
    • 코멘트
    PDF지면보기
  • [한자 이야기<840>孔子曰求아 周任이 有言曰陳力就列하여…

    [한자 이야기<840>孔子曰求아 周任이 有言曰陳力就列하여…

    ‘논어’ ‘季氏(계씨)’의 첫 章에 나오는 문장이다. ‘계씨’편은 각 章의 형식이 일정하지 않다. 魯論 齊論 古論의 세 텍스트 가운데 齊論이었을지 모른다. 그 첫 章은 노나라 대부 季氏가 전臾(전유)를 정벌하려고 하자 계씨의 가신인 염有(염유)와 季路(계로)가 공자에게 이 사실을 알리…

    • 2010-02-24
    • 좋아요
    • 코멘트
    PDF지면보기
  • [한자 이야기]<839>師冕이 見할 새 及階어늘 子曰階也라 하시고…

    [한자 이야기]<839>師冕이 見할 새 及階어늘 子曰階也라 하시고…

    인간을 진심으로 사랑하는 사람은 신체가 부자유한 사람이나 호소할 곳 없이 고통 겪는 사람을 恝視(괄시)하지 않을 것이다. ‘논어’ ‘衛靈公(위령공)’의 이 章에서 공자는 앞 못 보는 악사를 위해 섬돌 있는 곳을 일러주고 그의 자리를 일러주었으며 자리에 함께하는 사람들이 누구인지 일일이…

    • 2010-02-23
    • 좋아요
    • 코멘트
    PDF지면보기
  • [한자 이야기]<838>辭는 達而已矣니라

    [한자 이야기]<838>辭는 達而已矣니라

    말과 글은 뜻이 통하게 하는 것이 중요하지, 풍부하고 화려하다고 훌륭한 것은 아니다. 곧 말하거나 글 쓰는 이는 자신의 뜻을 표현하여 상대가 이해하도록 만드는 데 중점을 둬야지 본심이 드러나지 않거나 이해되지 않을 정도로 誇張(과장)과 粉飾(분식)을 일삼아서는 안 된다. 공자는 ‘논어…

    • 2010-02-22
    • 좋아요
    • 코멘트
    PDF지면보기
  • [한자 이야기]<837>道不同이면 不相爲謀니라

    [한자 이야기]<837>道不同이면 不相爲謀니라

    근대 이전의 유학자들은 異端(이단)을 排斥(배척)한다는 이유로 불교를 비판하고 같은 유학 내에서도 陽明學을 비난하는 한편, 주자의 경전 해석과는 다른 설을 주장하면 斯文亂賊(사문난적)이라고 공격했다. 그때 권위적 논거로 사용한 고전어 가운데 하나가 ‘논어’ ‘衛靈公(위령공)’의 이 章…

    • 2010-02-19
    • 좋아요
    • 코멘트
    PDF지면보기
  • [한자 이야기]<836>有敎면 無類니라

    [한자 이야기]<836>有敎면 無類니라

    우리는 공자를 위대한 교육자라고 일컫는다. 공자의 교육 사상을 가장 선명하게 드러내주는 말이 ‘논어’ ‘衛靈公(위령공)’편의 이 章이다. 곧, ‘有敎無類’는 가르침에 차별을 두지 않으려는 평등교육의 이상을 담았다. 無類의 類에 대해서 한나라의 馬融(마융)은 種族(종족)의 부류로 보았…

    • 2010-02-18
    • 좋아요
    • 코멘트
    PDF지면보기
  • [한자 이야기]<835>君子는 貞而不諒이니라

    [한자 이야기]<835>君子는 貞而不諒이니라

    사람은 누구나 信義를 지켜야 한다고 말한다. 그렇거늘 공자는 ‘논어’ ‘衛靈公(위령공)’의 이 章에서 군자는 작은 신의에 얽매이지 않는 법이라고 했다. 어째서인가? 군자는 올바른 도리에 대해서는 굳게 지켜 흔들림이 없어야 하지만 是非曲直(시비곡직)을 따지지 않고 그저 처음 뜻을 관철하…

    • 2010-02-17
    • 좋아요
    • 코멘트
    PDF지면보기
  • [한자 이야기]<834> 當仁하여는 不讓於師니라

    [한자 이야기]<834> 當仁하여는 不讓於師니라

    仁의 실천은 나의 자율에 의해서 행하는 것이다. 따라서 仁을 실천할 때 마땅히 스스로 용맹스럽게 해나가야 하기에, 스승에게조차 양보하는 일이 있어서는 안 된다. 공자는 ‘논어’ ‘衛靈公(위령공)’의 이 章에서 그점을 단호하게 말했다. 當仁은 ‘인을 실천하는 때를 당해서는’이다. 이에 …

    • 2010-02-16
    • 좋아요
    • 코멘트
    PDF지면보기
  • [한자 이야기]<833>民之於仁也에 甚於水火하니 水火는…

    [한자 이야기]<833>民之於仁也에 甚於水火하니 水火는…

    ‘논어’ ‘衛靈公(위령공)’의 이 章에서 공자는 仁을 물과 불에 비유했다. 비유의 뜻에 대해서는 두 가지 설이 있다. 하나는 물과 불이 인간생활의 필수품이듯이 仁도 인간의 필요조건이라는 설이다. 또 다른 하나는 사람들이 물과 불을 위험하다고 여겨 피하듯이 仁도 피한다는 설이다. 앞의 …

    • 2010-02-12
    • 좋아요
    • 코멘트
    PDF지면보기
  • [한자 이야기]<832>君子는 不可小知而可大受요 小人은 …

    [한자 이야기]<832>君子는 不可小知而可大受요 小人은 …

    ‘논어’ ‘衛靈公(위령공)’의 이 章에서 공자는 군자와 소인의 임무가 다를 수 있다고 논하였다. 해석에는 두 가지 설이 있다. 주자는 知와 受를 서로 다른 것으로 보아 知는 내가 사람을 관찰하는 것, 受는 저 사람이 나에게서 받는 것을 가리킨다고 보았다. 이에 비해 정약용은 知와 受를…

    • 2010-02-11
    • 좋아요
    • 코멘트
    PDF지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