겨울 바다를 보러 충동적으로 격포에 왔다. 전북 부안군 변산반도 끝자락에 위치한 격포는 변산반도 국립공원 권역에 속하는 수려한 관광지로, 위도 등을 오가는 여객터미널 항과 어항으로 모두 이름난 곳이다. 인근 군산, 서천 등과 활발하게 교역하면서 해산물의 중간 집산지로도 예전부터 ‘유명…
다음과 같은 명제에 나는 적잖은 한국 사람들이 동의하리라 믿는다. ‘자랑스레 내세울 만한 갈비집이 없는 도시는 외롭고 적막하다’고. 한국 사람들에게 갈비는 풍요와 여유를 상징하는 문화자본이다. 국민의 생활 수준이 어지간히 올라간 지금도 갈비는 한국인의 의식 속에서 매우 특별한 먹거리로…
한국에서 냉면은 좀 특별한 성격을 갖고 있는 음식이다. 음식에도 사회적 위계가 있을 수 있다는 걸 냉면만큼 명료하게 증명하는 음식이 달리 없기 때문이다. 분식집에서 몇천 원이면 사먹을 수 있는 냉면도 있지만 브랜드의 가치를 확보한 명가의 냉면들은 한 그릇에 1만5000∼2만 원을 호가…
충남 강경에 왔다. 목적은 아주 강경하고 명백한 단 한 가지. 젓갈백반정식을 맛보기 위해서다. 한국 사람들은 입맛이 없을 때 흰밥을 물에 말아 짭조름한 젓갈을 올려 먹곤 한다. 그런데 참 신기하게도 딱히 영양소랄 것도 없을 그 단출한 조합이 잃었던 입맛을 돌아오게 하고 원기를 불어넣어…
부산에서 나고 자란 이들에게 “지금은 그 어디서~”로 시작하는 가요 ‘부산갈매기’는 조금 과장해서 말하면 국가 이상의 지위를 갖는다. 부산 연고 야구팀의 응원가로 쓰이면서 그 지위는 불가역적인 것이 됐다. 바닷가에서 흔히 보는 친근한 갈매기를 모티프로 연모의 마음을 애절하면서도 서민적…
필자가 칼국수 마니아여서 하는 말이지만, 서민들에게 친근한 한 끼 먹거리로 칼국수만한 건 없다고 감히 단언한다. 비슷한 지위를 누리는 짜장면과 순대국은 집에서는 만들어 먹기 어려운 맹점이 있는데, 칼국수는 집에서 만들어 먹기도 수월하고 입맛대로 칼국수 맛집을 찾아다니는 매식도 가능하다…
인류학자들에 의하면 인간은 기본적으로 다른 생물을 포획하거나 길러서 효율적으로 희생시키고 그것을 먹음으로써 만물의 영장으로서 지위를 갖게 되는데, 그 과정에서 쾌감과 함께 죄책감이란 걸 느끼게 되었고, 병이나 재앙이 찾아올 경우 자신들이 희생시킨 것들이 내리는 벌이라고 보았다고 한다.…
노포를 다니다 보니 시나브로 몇 가지 공통된 요소를 발견하게 되었는데, 그중 하나가 일종의 전형성이라고 할 만한 것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 그러니까 김치찌개를 파는 집은 김치찌개집다운 전형성을, 냉면을 파는 집은 냉면집다운 전형성을, 중국 음식을 파는 집은 중국집다운 전형성을 올곧게…
안동으로 맛기행을 가면서 내심 간고등어 백반을 첫손에 꼽았다. 안동은 찜닭과 한우갈비도 유명하지만 가장 서민적이면서도 보편적인 음식으로 한국인들의 허기를 달래준, 감히 ‘국민 솔 푸드’라고 해도 부족함이 없는 안동 간고등어를 안 먹어 본다는 것은 그 원천을 소유한 고장에 대한 예의가 …
퇴계 이황 선생과 서애 유성룡 선생의 뚜렷한 자취가 있는 경북 안동은 한국 정신문화의 수도라는, 내심 시민들이 자부하는 별칭을 갖고 있는 도시인 동시에 지리적으로는 전형적인 내륙 분지다. ‘안동 분지’라고 하여 지리교과서에서 분지 지형을 설명할 때 언급될 정도.그런데 이같은 자연 조건…
언젠가 인터넷의 어떤 블로그에서 세계에서 한국 사람들만 식용으로 사용하는 재료를 꼽아놓은 걸 본 적이 있다. 거기에는 깻잎과 콩나물, 골뱅이, 참외 등과 함께 도토리가 들어가 있었다. 다른 나라에서 도토리는 숲속에 사는 설치류들의 먹이나 돼지의 사료로만 인식될 뿐 인간이 먹을 수 있는…
심각하다 못해 망국론까지 언급될 정도로 최악인 근년의 저출산율을 말할 때 격세지감을 느끼는 이들이 많을 것이다. 한국에서 연중 가장 많은 신생아가 태어난 시기는 1960년대부터 1970년대 초까지로 보는 게 정설이다. 이른바 베이비부머 시기였던 1959년부터 폭발적인 출산율과 인구 증…
우리 동네요, 중국집이요, 옛날짜장이다. 이런 구색이면 수다스러울 정도로 할 말이 많아야 하는데 이 집은 묘하게도 단골손님에게조차 많은 정보를 흘리지 않는다. 좀 단호하게 말하면 좀처럼 곁을 내주지 않는 집이다. 내가 이 집을 쓰기로 마음먹으면서도 할 말이 궁하지 않을까 염려되었던 것…
종로에서 동대문을 지나면 바로 나오는 동묘벼룩시장은 서울, 아니 대한민국 구제 물품의 집합소로 명성이 자자하다. 의류, 신발, 모자 등 철 지나 오히려 고풍을 얻은 패션용품부터 고가구, 시계, 미싱, 전화기 같은 추억을 자아내는 생활용품, LP와 앰프, 턴테이블 같은 음향기기까지 시대…
행정구는 다르지만 맞닿은 동네 연희동과 연남동은 뭐니 뭐니 해도 서울 중화요리의 메카라고 할 수 있다. 연희동·연남동 일대에 화교들이 유입된 것은 1969년 명동에 있던 한성화교 중고등학교가 연희동으로 옮겨가면서 화교들이 상대적으로 통학 환경이 좋은 연희동과 연남동으로 대거 이주했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