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버스카드제」시행 4개월…운송수입 손금보듯 파악

  • 입력 1996년 11월 3일 20시 31분


「김희경기자」지난달 30일 서울시내버스업체들의 고의적인 적자부풀리기가 검찰수사결과 밝혀지면서 버스카드제가 새롭게 조명을 받고 있다. 버스카드가 수입금 내용을 완전히 공개해 버스업체들의 고질적인 수입금 누락을 막을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 때문이다. 지난 7월 도입이후 버스카드의 사용현황과 운영방식, 이후 발전전망 등을 살펴본다. 서울시내 8천7백25대의 버스중 카드사용이 가능한 버스는 8천2백70대. 지금까지 5백12억6천만원이 카드판매와 충전수입금으로 버스운송사업조합에 입금됐으며 이가운데 4백41억6천만원이 운송수입금으로 각 업체에 지급됐다. 현재 전체 버스승객중 24.5%가 카드를 사용하므로 버스의 전체 운송수입금중 24.5%는 그 내용이 모두 공개되고 있는 셈이다. 버스카드의 요금정산 시스템은 매일 운전기사가 카드판독기의 팩을 차고지에 설치된 정산기에 넣으면 곧바로 차량, 노선, 시간대별 사용횟수와 금액이 버스운송사업조합의 주전산기에 입력되는 방식으로 운영된다. 이 자료에 따라 각 회사에 운송수입금이 자동이체된다. 버스운송사업조합의 林誠吉운영실장은 『운전기사가 팩을 매일 정산기에 넣지않더라도 판독기에 내장된 블랙박스가 최근 30일동안의 사용횟수와 금액을 기억하므로 수입금이 누락될 우려는 전혀 없다』고 설명했다. 버스카드제가 시행 4개월만에 빠르게 확산된 것은 버스를 탈 때마다 토큰을 챙겨야하는 불편을 겪어왔던 시민들의 카드 선호 때문. 10월말 현재 버스카드는 모두 2백2만장이 판매됐다. 버스카드 도입전 버스운송사업조합이 올해말까지 예측한 카드수요는 40만장에 불과했지만 7월 한달만에 모두 1백만장의 카드가 팔려나갔다. 이바람에 7월말부터 9월초까지 카드품귀현상이 일어나기도 했다. 당초 카드수요예측이 틀렸을 뿐만 아니라 충전기의 부족으로 한번 쓰고 버리는 카드가 많았기 때문이다. 충전카드의 사용비율은 전체의 74.9%로 점차 늘고 있지만 아직까지 서울시내에 설치된 충전기는 2천대로 크게 부족한 형편이다. 충전기의 부족에는 토큰판매상들의 충전기설치 기피도 한몫을 하고 있다. 성북구에서 충전소를 운영하는 金모씨는 『충전소를 운영한뒤 전화요금이 평소 1만7천원에서 5만원이상으로 올랐다』며 『이 때문에 카드충전기를 철수하는 상인들이 많다』고 말했다. 이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서울시와 인테크산업은 내년초부터 지하철역구내나 24시간 편의점 등에 무인충전기 3천개를 설치할 계획이다. 한편 버스카드 도입으로 수입금의 투명성은 확보될 수 있지만 카드이용률이 얼마나 확대될지는 미지수다. 현금승차가 완전히 사라지는 것이 불가능한데다 79년 도입된 토큰이 90년대 들어서야 80%의 이용률을 차지했다는 것을 감안하면 버스카드로 버스업체의 운송수입금이 공개되기까지는 상당한 시일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 버스운송사업조합이 선불로 받은 카드판매대금과 충전비용을 제대로 관리하고 있는지에 대한 서울시의 감독도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