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全斗煥 피고인 무기, 盧泰愚 피고인 징역 17년"
16일 오전 10시45분께 서울고등법원 417호 형사대법정에서는 또다시 역사의 한페이지가 기록되고 있었다.
지난 8월26일 1심선고이후 12.12및 5.18사건과 全斗煥.盧泰愚 前대통령 비자금사건의 항소심 심리를 마치고 피고인들의 형량을 선고하는 權誠재판장의 얼굴은 상기됐고 카랑카랑 했던 목소리는 가늘게 떨리고 있었다.
재판장이 全.盧씨에 대해 반란과 내란 혐의를 인정하면서도 "권력의 상실이 죽음을 의미하는 정치문화로 부터 탈피해야 한다"면서 全씨에 대해 사형을 무기로 감형하자 全씨는 눈을 감고 아랫입술을 굳게 다물고 있다 조용히 고개를 들어 재판부를 응시했다.
그는 죽음에서 살아난 세상을 실감하는 듯 입가에 엷은 미소를 감추지 못했다.
全씨는 피고인 16명 전원에 대한 형량이 선고되는 5분여 동안 줄곧 허리를 곧추세우고 고개를 젖힌 채 눈을 감고 있었다.
全씨는 형량 선고에 앞서 재판장이 40여분간 쟁점에 대한 판단과 형량 이유를 설명하는 동안 몸을 뒤로 젖히고 고개를 곧추 세운채 손으로 입술을 훔치는 등 긴장된 표정속에 "12.12 군사반란을 주도하여 하극상의 패역으로 군의 기강을 파괴하였고 내란을 일으켜 권력을 탈취하면서…그러나 대통령 재임중 6.29선언을 수용하여 평화적 정권교체의 단서를 열은…" 등등 자신의 양형 이유를 들으며 입을 움직여 혼잣말을 하기도 했다.
盧씨는 결석 등으로 몸이 안좋은 탓인지 침울한 표정으로 방청석을 둘러보다 全씨의 옆자리에 앉았으나 全씨와 달리 고개를 약간 숙인채 가끔식 자세를 고쳐 앉는등 긴장감을 감추지 못했다.
盧씨도 징역 17년이 선고된 순간 숙였던 고개를 들어 재판장을 쳐다봤다.
"全斗煥의 참월(僭越)하는 뜻을 시종 추수(追隨)하여 영화를 나누고 그 업(業)을 이었다.그러나 수창(首唱)한 자와 추수한 자 사이에 차이를 두지 않을 수 없으므로 피고인 全斗煥의 책임에서 감일등(減一等)한다" 盧씨는 양형이유가 설명되자 내리 깔았던 시선을 조용히 들어 2인자로서 또다시 감형된 형량을 되새기며 재판장을 바라봤다.
선고 공판이 끝난 후 全씨는 피고인석에서 일어나 盧씨의 손을 잡았다.
이어 黃永時.兪學聖 등 피고인들과 환한 표정으로 의미있는 미소를 지으며 일일이 악수를 나누며 "수고했습니다" 등 서로 인사를 나눴다.
盧씨는 무죄가 선고된 朴俊炳피고인의 어깨와 손을 다독거려 주기도 했다.
입정할 당시의 심각했던 표정의 피고인들은 일제히 미소를 감추지 못한채 서로를 격려했으며 방청석의 지인(知人)들에 손을 흔들기도 했다.
구치소로 돌아가기 위해 법정을 나서는 피고인들의 등뒤로 "이게 무슨 재판이야.수천명을 죽인 사람에 무기라니 말이 되느냐"는 고함이 쏟아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