金賢哲(김현철)씨의 국회 한보청문회 증인 출석날짜(25일)가 다가오면서 청와대 관계자들의 표정이 어두워지고 있다. 현철씨의 청문회 증언과 사법처리 문제가 밀접한 관련이 있기 때문이다.
요즘 청와대측은 현철씨의 사법처리를 각오한 듯한 분위기다. 그러나 한보사건의 「몸통」이 아닌 이권개입 등 「곁가지」혐의, 이른바 「별건(別件)구속」으로 결말이 날 경우 국민들에게 설득력을 가질 수 있겠느냐는 게 청와대측 고민이다.
이 문제에 대한 청와대 기류는 金泳三(김영삼)대통령의 지난 2월15일 대국민담화발표 이후 미묘한 변화를 보여왔다. 여야영수회담을 고비로 李會昌(이회창)신한국당대표 진영은 물론 야권의 분위기가 다소 유연해지는 듯하자 청와대의 분위기는 당초의 「정면돌파」에서 「청문회만 무사히 넘기자」는 기대감으로 바뀌었다.
담화를 전후해 만난 각계인사들에게 시름을 털어놓던 김대통령도 얼마전에는 『털어서 나오는 게 없는데 어떻게 사법처리를 하느냐』며 다른 면모를 보인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지난 주말부터 현철씨의 일부 이권개입혐의가 포착된 것으로 알려지면서 청와대의 기류는 다시 뒤집혔다. 청와대 관계자들의 입에선 『청문회출석과 사법처리는 별개의 문제다』 『모든 것이 국민의 기대대로 순리에 따라 풀려갈 것』이라는 말이 나오고 있다
청와대의 한 관계자는 23일 『차라리 한보수사에서 혐의가 포착된다면 홀가분하게 털고 정국수습에 나설텐데 「별건구속」을 국민이 납득하겠느냐』고 고민을 털어 놓았다.
청와대측의 고민은 이 뿐만이 아니다. 관계자들은 지난달 「과격한」 행동까지 보였던 현철씨가 청문회 출석 이후 사법처리에 예상치 못한 반발을 보일 가능성을 크게 걱정하는 모습이다.
「鄭泰守(정태수)리스트」에 오른 정치인의 처리도 청와대측의 고민이다. 한 관계자는 『대가성 금품수수를 처벌하자니 대부분 야당의원들이고 「포괄적 뇌물죄」를 적용, 액수를 기준으로 처벌하자니 법논리 적용에 무리가 있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이동관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