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업철회,나라위한 성숙한 결단』 시민들 환영

  • 입력 1998년 2월 13일 07시 11분


한밤의 극적인 철회였다. 파업을 피하고 대의로 돌아서서 뭉치자는 결의의 밤이었다. 노사정 대타결의 정신으로 난국을 풀어가자는 굳은 합의. 민노총 비상대책위원회는 13일 0시 총파업을 강행키로 한 방침을 거두었다. 비상대책위원회는 파업결정 철회여부를 두고 12일 밤 늦게까지 토론에 토론을 거듭한 끝에 노조가 한발짝 물러서서 구국의 길을 함께 하라는 국민 여망을 존중하기로 했다. 이날 민노총 비상대책위가 열리는 중에도 시민들의 자제요청 전화가 끊이지 않았다. 특히 민노총을 지지해온 시민단체들까지 합세, ‘파업은 도움이 되지 않는다’‘다함께 망하자는 말이냐’는 충고에 민노총측은 곤혹스러워했다. 성명 등을 통해 민노총이 파업을 자제해 줄 것을 촉구하고 나섰던 시민단체들은 한밤의 파업철회 결정을 환영했고 시민들도 안도의 숨을 내쉬었다.그러나 시민들은 “이제 정부와 사용자측의 양보와 갈등조정만이 남은 과제”라며 “노조의 양보정신을 살려 ‘사정(使政)’의 노사정합의안을 이번 임시국회에서 기어이 타결, 대외 신인도를 회복하고 경제난을 극복하도록 해야 할 것”이라고 기대했다. 이에 앞서 대검 공안부(부장 주선회·周善會 검사장)가 12일 통상산업부 노동부 경찰청 등 7개 유관기관 책임자가 참석한 가운데 열린 ‘노사분규 수사지도협의회’에서 13일로 예정된 민노총의 총파업을 불법으로 규정,공권력을 총동원해 파업지도부를 붙잡아 사법처리한다는 방침을 밝혔었다. 검찰은 “민노총의 총파업은 국회의 입법행위를 상대로 한 것이어서 전형적인 불법파업”이라며 “전담수사반을 편성해 파업주도자들을 조속히 검거하고 과격시위 가담자들도 엄단하겠다”고 밝혔다. 또 민노총은 이날 오전과 오후 비상대책위원회(위원장 단병호·段炳浩)를 열어 13일 오후1시부터 총파업을 강행한다는 입장을 재확인, 13일 오후3시 서울 종묘공원에서 ‘정리해고 저지대회’를 갖는 것을 비롯해 부산 광주 대전 등 전국 10여개 도시에서 동시에 집회를 가질 계획이었다. 파업결의를 한 노조는 △현대자동차 등 현대그룹노조총연합 7개 노조 △자동차연맹 16개 노조 △민주금속연맹 36개 노조 △한국생산성본부 등 공익노련 10개 노조 △의료보험노조 등 전국 70개 노조(조합원 12만여명)였다. 민노총 울산본부는 이날 점심시간에 단위사업장 노조별로 집회를 열고 파업결의를 다졌으며 민노총 소속 조합원 3백여명은 12일 오후 국민회의 당사앞에서 노사정 재협상을 요구하는 집회를 가졌다. 〈윤종구기자〉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