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명/지방선거]실직자들 『운동원 일자리 없나요?』

  • 입력 1998년 5월 22일 19시 11분


“선거운동을 도와드리면 하루에 얼마 줍니까.”

“죄송합니다만 유급사무원은 이미 다 찼는데요.”

22일 대구 한나라당 K중구청장 후보캠프. 선거운동원으로 일하겠다는 실직자들의 문의전화가 10여건 걸려왔다.

같은 날 경남진주 한나라당 P시장후보캠프에도 똑같은 내용의 문의전화가 폭주했다. 이 캠프에는 현재 7,8명의 실직자들이 일당을 받으며 선거운동을 도와주고 있다.

최대의 경제위기 속에서 치러지는 이번 6·4선거의 새로운 풍속도. 실직자들이 선거캠프로 몰려들고 있다. 유급사무원의 경우 법정 하루일당 3만원 외에도 식대와 교통비 등을 별도로 받을 수 있어 잘하면 하루에 5만∼8만원을 벌 수 있다.

그러나 이들 실직자의 채용은 하늘의 별따기. 광역단체장의 경우 읍면동에 1명씩, 기초단체장은 3명씩 제한된 법정정원이 이미 대부분 채워졌기 때문.

무소속 이상룡(李相龍)강원지사후보 사무실에는 요즘 하루 5,6명의 실직자가 어슬렁거린다. 이들은 “여유자금이 없어 일자리를 줄 수 없다”는 직원의 말을 듣고나서도 1,2시간쯤 앉아 있다가 자리를 뜬다.

실직자 10여명이 선거자원봉사를 하고 있는 한나라당 김진선후보 사무실에도 하루 20여명의 실직자가 와서 일자리를 요구하다 빈손으로 돌아가고 있다.

인천시장에 출마한 자민련 최기선(崔箕善)후보캠프에도 하루 일당을 묻는 실직자들의 전화문의가 하루에만 10여통 걸려오고 있다.

한나라당 김혁규(金爀珪)경남지사후보 캠프도 비슷한 상황. 한 측근은 “선거운동을 도와주겠다는 내용의 전화가 하루에만 20여건 걸려오는데 이중 절반 정도는 실직자들”이라고 말했다.

〈6·4선거특별취재반〓김상훈기자〉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