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명예총재측은 “장회장으로부터 어떤 명목으로든 돈을 받은 적이 없다”면서 “동아일보에서 보도한 세사람 중 한사람에 대해서는 장회장이 진술하지 않았다는 것은 우리를 두고 하는 얘기”라고 말했다.
김부총재의 한 측근도 “김부총재는 지난 3년 동안 청구 장회장을 만난 적이 없다는 사실을 여러차례 밝힌 바 있다”면서 “김총장의 발언으로 김부총재에 대한 의혹이 풀리게 됐다”고 주장했다.
권전부총재 역시 “나는 장회장을 알지 못하고 만난 적도 없다”면서 “내가 돈을 받지 않았다는 것은 너무도 당연한 일”이라고 말했다. 권전부총재측은 “검찰총장이 이례적으로 수사중인 사건에 대해 언급한 것은 권전부총재의 결백을 입증해주기 위한 것 아니겠느냐”고 해석했다.
당사자들의 반응과는 달리 국민회의와 한나라당은 엇갈린 태도를 보였다.
국민회의 당직자들은 “정황상 검찰총장의 발언은 권전부총재를 염두에 둔 것이 분명하다”고 반기면서도 공식반응을 보이지는 않았다. 반면 한나라당은 검찰총장의 언급은 야당 압박을 위한 ‘계산된 발언’이라고 보고 원구성이 되는 대로 이미 국회에 제출한 검찰총장 탄핵안을 조속히 처리키로 했다. 이날 열린 ‘서초갑 보선 필승 전략회의’에서 서청원(徐淸源)사무총장은 “검찰총장이 수사중인 사건에 대한 정보를 흘리고 정치적 언동을 하는 일은 군사독재정권시절에도 없었던 일”이라면서 “재보선을 앞두고 우리당 흠집내기에 검찰이 가담했다”고 비난했다.
한나라당의 이같은 반응은 검찰총장이 세사람 중 한사람만 아니라고 애매하게 확인한 것은 결국 이명예총재나 김부총재 중 최소한 한사람은 연루됐다는 사실을 간접확인한 것으로 보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한나라당 내부에서는 검찰이 이미 한나라당 주요인사의 정치자금 수수 등 비리의 단서를 잡고 공개시기를 저울질하는 것 아니냐는 우려의 소리도 나오고 있다.
〈김차수·윤영찬기자〉kimcs@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