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하는 대학이 집에서 얼마나 떨어져 있는지는 별 문제가 안된다. 전국 대학을 상대로 입학허가를 신청하고 합격통지를 받은 학교 중 한 곳을 골라 진학한다. 이에 비해 우리 고교생들의 대학선택 기준은 대학의 소재지가 절대적이다. 서울 소재 대학을 가장 선호하고 그 다음 성적이면 수도권 대학을, 그보다도 못하면 지방대를 지원하는 식이다.
▼일단 대학에 들어간 학생들의 서울 선호현상은 또다른 형태로 나타난다. 수십, 수백대 1의 과열경쟁 때문에 ‘제2의 대학입시’로 불리는 대학 편입학시험이 그것이다. 군입대생 등 소수의 결원을 보충하기 위한 편입학시험은 지방대 학생들이 서울 진입을 노리는 ‘관문’으로 굳어진 느낌이다. 이번 2학기 편입학시험은 경제위기의 영향으로 대학마다 휴학생이 늘면서 모집인원이 사상 최대를 기록해 지방 대학생들의 대규모 이동이 예상된다.
▼‘편입학 전쟁’의 최대 피해자는 지방대학들이다. 지방대 교수들은 새 학기만 되면 학생들이 빠져나가 교실이 텅 비는 탓에 수업의욕을 잃는다고 털어놓는다. 학생감소로 등록금 수입이 크게 줄어 도산위기에 놓인 지방대도 많다.해결방안은지방의우수대학을집중 지원해 그 지역 거점대학으로 키우는 길이다.고사직전의지방대를 구하기 위해 교육당국은 빨리 손을 써야 한다.
〈홍찬식 논설위원〉 chansik@donga.com
구독
구독 128
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