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는 “노원구 상계소각장(8백t규모)의 경우 하루 2백24t을 처리해 소각장 가동률이 28%에 불과하고 양천구 목동소각장(4백t규모)도 가동률이 58%에 그쳐 매년 60억원이 넘는 적자를 내고 있다”고 19일 밝혔다.
이같은 적자의 원인은 소각장 건설 당시 서울시가 쓰레기 발생량을 잘못 예측한 탓.
소각장 설계 당시에는 음식물쓰레기 등 생활쓰레기가 매년 증가할 것으로 예측했지만 쓰레기 종량제 실시와 IMF의 여파로 쓰레기 발생량이 97년을 기점으로 매년 20%씩 줄어들고 있다.
게다가 상계동과 목동소각장 주변 주민들이 ‘타구 쓰레기 반입 불가’라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어 서울시는 소각장 처리용량이 남아도는데도 인접구의 쓰레기를 태우지 못하는 등 효과적인 운영을 못하고 있다.
이와관련, 서울시는 조순(趙淳)전임시장 재임시절 25개구에 하나씩의 소각장을 짓겠다던 ‘1구1소각장’정책을 포기하고 3,4개구를 하나로 묶어 권역별로 광역소각장을 운영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또 조례를 개정, 그동안 서울시가 모든 비용을 부담하던 소각장 건설과 운영비를 자치구가 분담하고 구별여건에 따라 차등지원할 계획.
서울시관계자는 “시가 적자를 감수하며 특정지역 주민에게 계속적인 지원을 할수는 없다”고 말했다.
이에대해 상계소각장 주민대책위원회의 김옥진(金玉珍·46)씨는 “적자의 원인은 시가 주민의 요구를 묵살하고 과다한 용량의 소각장을 지은 탓”이라며 “타구쓰레기 소각은 있을 수 없는 일”이라고 말했다.
〈하태원·이완배기자〉scooop@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