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히 부상자를 위한 지원금은 배정액 1억9천5백만원중 단 한푼도 집행되지 않아 이재민을 안타깝게 하고 있다.
23일 현재 서울시가 재해구호기금으로 배정한 금액은 사망자 위로금 부상자 위로금 생계구호금 주택수리지원금 등을 합쳐 모두 2백17억1천6백80만1천원.
이중 실제로 이재민을 위해 사용된 금액은 78.6%정도인 1백70억8천6백78만2천원이다.
하지만 사망자를 위한 지원금은 배정금 1억8천만원중 8천5백만원만이 지원돼 47.2%에 그쳤고 부상자 위로금은 39명분 1억9천5백만원이 배정됐지만 단 한푼도 지급되지 않았다.
또 이재민에게 가장 시급한 쌀 생필품 모포 가스레인지 등의 구입을 위한 ‘생계구호금’도 12억1천45만원이 배정됐지만 3억6천2백60만원(29.9%)을 집행하는데 그쳤다. 파손주택수리 지원금도 1백8가구분 3억2천4백만원을 배정했지만 집행금은 1억3천5백만원(41.6%)에 불과했다.
이재민에 대한 지원금의 집행실적이 저조한 것은 지원금의 직접적인 배정을 맡고 있는 구청의 확인 작업이 늦어지고 있기 때문. 부상자의 경우 피해를 장애등급별로 구분, 부상정도에 따라 차등지급 해야하지만 복구작업에 매달리느라 부상확인작업이 늦어지고 있다.
파손주택에 대한 세입자 보조금도 주택별 피해 확인작업이 마무리되지 않아 지급되지 않고 있다.
서울시관계자는 “성급히 지원한 뒤 지원금을 환수할 경우 오히려 민원발생소지가 있어 시간이 다소 걸려도 피해상황을 철저히 조사하고 있다”고 해명했다.
〈하태원기자〉scooop@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