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F 경제위기 극복 시기에 대해서는 5명중 4명 이상이 3∼6년 걸릴 것으로 예상해 정부 전망(2년 이내)을 믿는 사람이 적었다.
동아일보는 최근 IMF 관리체제 만 1년을 앞두고 여론조사기관인 리서치 앤 리서치(R&R·대표 노규형·盧圭亨)에 의뢰, 전국 성인남녀 1천명을 대상으로 ‘IMF 경제위기 국민의식 조사’를 실시했다.
이 조사결과에 따르면 5가구 중 4가구(81.1%)가 작년보다 소득이 감소했다고 응답했고 평균 소득감소율은 31.5%에 이르렀다.
소득감소폭은 고연령 저학력 자영업자 무직자와 월소득 1백만원 이하 계층에서 특히 높았다.
장래 가계소득에 대해서는 ‘더욱 감소할 것’이라는 예상이 59.0%, ‘별 변화가 없을 것’이라는 전망이 33.4%를 차지한 반면 ‘증가할 것’이라는 응답은 5.8%에 불과해 비관적인 관측이 지배적이었다.
응답자의 69.0%가 저축액이 작년보다 줄었다고 밝혔으며 ‘늘어났다’는 가정은 3.0%에 그쳤다.
평균 저축감소율은 38.7%로 평균 소득감소율보다 높았으며 저축을 전혀 못하고 있는 가정도 전체의 21.7%나 됐다.
이같은 결과는 ‘소득은 줄었지만 저축은 늘었다’는 한국은행 등의 기존 통계조사와 크게 다른 것으로 불황의 골이 깊어갈수록 저축이 위축되는 현실을 보여주고 있다.
IMF 체제 진입 이후 10가구중 4가구 가까이(39.0%)가 적금이나 보험을 해약했으며 빚이 늘어나거나(17.8%) 부동산 또는 주식 등을 매각(6.9%)하는 등 재산상 변화를 겪은 응답자가 64.0%에 이르렀다.
자신이나 가족의 실업문제에 대해 응답자중 68.5%가 심각하게 걱정하고 있었으며 고연령 저학력 블루칼라 저소득층에서 실업에 대한 불안감이 심했다.
실제로 응답자들은 IMF이후 우려되는 문제로 실업문제(51.9%)를 가장 많이 꼽았으며 현정부의 실업대책에 대해서는 적절하다는 응답이 6.9%에 불과해 대부분 부정적 또는 유보적인 평가를 내렸다.
현재 진행중인 기업 및 금융권 구조조정과 관련, 절반이상(54.5%)이 기업과 금융권이 소극적이라고 응답한 반면 정부간섭이 지나치다는 응답은 17.3%에 불과했다.
IMF 극복 시기에 대해서는 3,4년 걸릴 것이라는 응답이 44.8%, ‘5년 이상’이 39.9%, ‘2년 이내’는 12.2%에 불과했다.
IMF 극복을 위한 우선 과제로는 절반에 가까운 48.5%가 ‘정치인 및 관료들의 개혁’이 가장 시급하다고 꼽았으며 △국민 의식개혁(17.2%) △고용안정(8.2%) △수출증대(7.4%) △기업구조조정(7.3%) △경기부양(4.1%) 등이 뒤를 이었다.
IMF 발생원인으로는 △김영삼정부의 잘못된 경제정책(33.0%) △정경유착(27.1%) △국민의 과소비(21.7%) △기업의 부실경영(16.5%) 등을 꼽았다.
〈이영이기자〉yes202@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