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부분의 관계자들은 이번 사건이 ‘체벌 금지’이후 오랫동안 쌓여왔던 교사와 학생간의 신뢰 부족이 표면화된 근본적인 문제로 보고 있다.
따라서 지금까지의 관행적인 방식으로 문제 학생들을 전학보내거나 퇴학시키는 것은 더 이상 해결책이 되기 어렵다는 지적이다.
청소년보호위원회 강지원(姜智遠)위원장은 “학생들이 고분고분 말을 잘 듣는 것이 교사의 권위라고 생각하는 것이 문제”라며 “교사의 권위는 교사가 진정으로 학생을 사랑한다는 것을 보여줄 때 생기는 것”이라고 말했다.
강위원장은 “학생이 버릇이 없으면 버릇이 생기도록 가르치는 것이 교육이지 쫓아내는 것이 교육이 아니다”며 “말 잘듣는 학생들만 모아 놓으면 진정한 의미의 ‘교육’이 무슨 필요가 있느냐”고 반문했다.
연세대 교육학과 한준상(韓駿相)교수도 “전학보내는 것과 용서하는 것 중 어느 쪽이 더 학생들을 반성할 수 있게 하는지 생각해 봐야 한다”며 “가장 중요한 것은 잘못을 저지른 학생들이 반성하고 바른 길을 걷도록 하는 것으로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준해(李俊海)전서울시교육감도 “학교가 교사의 권위 회복을 위해 학생을 징계한다고 밝히고 있지만 용서를 구하는 학생에게 관용을 베푸는 것이 오히려 교권 회복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조언했다.
참교육을 위한 전국 학부모회 윤지희(尹智熙)사무처장은 “지금 교사들은 ‘선생님 그림자도 밟지 않았던’ 세대이고 학생들은 자유분방한 신세대로 갈등이 없을 수 없다”며 “징계는 갈등을 일시적으로 봉합할 수는 있어도 근본적인 치유책은 될 수 없다”고 말했다.
그는 “잘못을 저지른 학생에 대한 사랑이야말로 교육 본연의 가치”라고 전제하면서 “교사와 학교가 학생에게 용서와 관용을 보여줄 때 학생들도 진정으로 학교를 사랑하고 아끼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완배기자〉roryrery@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