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인사는 차기 검찰총장 인선을 6개월 정도밖에 남겨두지 않은데다 시민 사회단체의 강도높은 검찰 개혁요구 등으로 전례없는 ‘파격인사’가 예상된다.
검찰고위직의 인사폭은 검사장급 이상 서너명. 항명파동을 일으킨 심고검장과 이미 사표를 낸 일선검사장 2명 및 사표종용에 반발하는 검사장 1명 정도.
그러나 이 정도의 인사로는 개혁인사라는 평가를 받기 어렵다는 것이 법무부의 고민이다. 이에 따라 고검장과 검사장 서너명에게 법무부 산하기관장이나 정부기관장 자리를 제시하며 용퇴를 유도할 것이라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이렇게 되면 검사장급 승진이 7,8명으로 늘어나 ‘세대교체’가 이뤄진다.
‘파격인사’로 인해 후배기수를 전진배치할 경우 고검장 승진에서 누락되는 두세명의 검사장들이 퇴진할 가능성도 높아져 인사폭은 더욱 커질 수밖에 없다.
박순용(朴舜用)서울지검장이 고검장 승진 ‘0순위’로 꼽히고 있지만 이같은 분위기 때문에 동기생인 사시 8회 현직 검사장들의 승진로비가 치열하게 벌어지고 있다는 이야기도 들린다.
법무부와 대검찰청의 미묘한 입장차이도 이번 인사의 ‘태풍의 눈’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높다. 박상천(朴相千)장관이 대검의 일련의 상황판단과 대처를 두고 대검 참모진에 문제가 있다는 인식을 갖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검찰수뇌부를 제외한 나머지 간부들에 대한 전면교체가 있을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오고 있다.
최근 화두(話頭)가 되고 있는 ‘지역화합’도 주요한 변수다. 개혁인사를 한다면서 또다시 지역편중얘기가 나올 경우 더큰 분란의 소지가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가급적 많은 승진인사로 내부 불만을 최소화하면서 ‘지역안배’를 최대한 고려한 인사가 단행될 가능성이 높다.
〈조원표기자〉cwp@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