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위 공직자들은 경제난 속에서도 연이자 22∼27%인 투자신탁회사의 금융상품에 가입하거나 주식투자를 하는 등 상당한 재테크 수완을 발휘해 재산을 늘린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대해 일부 시민단체는 “대부분의 고위 공직자 재산이 늘어난 것은 IMF체제에서 실직과 감봉 등으로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는 서민정서와 맞지 않는다”며 “실사작업을 명확히 해 상세한 내용을 공개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정부공직자윤리위원회는 공직자의 재산증가 이유로 △정기예금 이자 상승 △원화가치 하락에 따른 환차익 △지난해말의 주가상승 등을 꼽았다.
또 공직자들이 적극적인 재테크를 통해 재산을 증식한 것이 아니라 경제상황 변화에 따른 자연스러운 ‘혜택’을 보았다고 말했다.
그러나 자세히 살펴보면 반드시 그런 것만은 아닌 것으로 보인다.
상당수의 공직자들이 자금을 민첩하게 운영하는 등 적극적인 재테크 수완을 발휘한 것으로 간주할 수 있는 ‘흔적’이 적지않다.
모 국립대총장은 지난해 예금만 1억3천8백여만원이 증가했는데 이는 다른 금융기관보다 금리가 높은 투자신탁회사 등에 많은 돈을 맡긴 때문으로 풀이됐다.
또 모 국책은행장은 본인과 부인이 무려 22개의 금융기관과 거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함께 모부처 차관은 본인과 부인 장남 등이 경기 용인시에서 아파트와 상가를 비교적 싼 가격에 매입해 사실상 재산을 불린 것으로 분석됐다.
이에 대해 참여연대 관계자는 “대부분의 서민 수입이 종전보다 20∼30% 감소한 시기에 고위 공직자의 재산은 오히려 늘어나 반감을 살 소지가 많다”고 말했다.
또 경실련 관계자는 “경제난 속에서 고위 공직자들의 재산이 늘어난 것은 석연치 않은 일”이라며 “공직자 윤리를 강화하고 유보된 금융종합과세를 부활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최성진기자〉choi@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