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상진精文硏長, 유교사상 재조명 연구팀 가동 논란

  • 입력 1999년 3월 15일 18시 55분


김대중(金大中)정부의 ‘이념적 기반’을 전통 유교사상에서 찾으려는 시도가 정부측 핵심관계자에 의해 추진되면서 이 문제가 논쟁거리로 떠올랐다.

제2건국운동 등 김대중정부의 주요 국정과제 추진에 이념적 토대를 제공해온 한상진(韓相震)정신문화연구원장은 최근 “기본을 세우자는 제2건국 운동 정신에서 ‘기본’의 본질은 전통 유교에서 찾을 수 있다”며 “유교는 고루한 사상이 아니다”고 말했다. 한원장은 앞서 지난달 28일 제주도에서 열린 한 세미나에서 김대중정부의 문제의식은 동양에도 유교라는 보편적 사상이 있는 만큼 유교의 바탕에서 21세기 아시아를 이끌 가치체계를 도출해 낼 수 있다고 말한 바 있다.

정신문화연구원은 한원장의 이같은 뜻에 따라 10명의 연구원으로 ‘전통과 정책 연구팀’을 구성, ‘전통 예학의 재조명과 시민 윤리 방향의 탐색’ 등 4가지 과제를 선정해 본격 연구에 들어간 것으로 알려졌다.

한원장은 정신문화연구원이 진행하고 있는 이 작업에 대해 “김대통령으로부터 구체적으로 미션을 받은 적은 없지만 오래 대통령을 접해본 감으로는 대통령도 이런 작업이 필요하다고 인정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한원장의 이같은 시도는 또하나의 관주도 정신운동으로 비칠 가능성이 있어 정치권과 학계에서 논란이 일고 있다. 지난달 28일 제주도 세미나에서도 “가부장적 봉건적 잔재가 가득한 유교를 이념축으로 삼는 데는 찬성할 수 없다” “지금 필요한 것은 새 이데올로기 창출이 아니다”는 등의 반론이 즉석에서 제기됐었다.

〈윤승모기자〉ysmo@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