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강댐과 비슷한 분쟁이 미국 워싱턴주에서 벌어졌다. 시애틀에서 북동쪽으로 30마일 가량 가면 스노퀄미라는 아름다운 강이 있다. 59년 큰 홍수가 나자 주정부는 이 강에 댐 건설을 추진했다. 저지대 농민들은 환영했지만 환경단체와 자연애호가들이 반발하고 나섰다. 찬반양론의 대립 속에 15년을 허송세월했다.
그 사이 홍수피해가 커져 주정부에서는 더 이상 결정을 미룰 수 없었다. 74년 전문중재인 제럴드 코믹(워싱턴주립대 중재연구소장)이 본격적인 중재활동에 들어갔다. 댐 건설을 둘러싼 이해집단과 찬반 양측의 대표들이 함께 중재석상에 앉았다. 양측이 만든 연구보고서와 대안을 놓고 함께 검토했다. 워크숍 토론회 등 다양한 형태의 모임도 계속됐다.
중재가 시작된지 4개월만에 결국 모두가 만족할만한 해결책을 찾아냈다. 당초 계획은 스노퀄미강의 세 지류중 홍수통제효과가 큰 중간 지류에 댐을 건설하는 것이었으나 이곳은 그대로 보존하고 북쪽 지류에 원안보다 규모가 작은 다목적 댐을 건설하기로 했다. 이렇게 해서 홍수피해도 막고 강 본류의 경관도 보존하게 됐다.
이를 계기로 미국에서는 각종 공공분쟁 해결을 위해 중재방식을 적극 도입하기 시작했다. 이후 10년간 1백60여건의 환경분쟁에 중재인이 개입해 78%가 성공적으로 해결됐다. 현재 미국에는 전문중재인협회(SPIDR)에 가입한 중재인만 약 3천명에 이른다.
모든 분쟁은 분쟁 당사자들의 만남과 건설적인 대화를 통해 해결된다. 동강댐 분쟁도 마찬가지다. 주민 민간단체 학계 정부 등 양측 관련 당사자 대표들이 무릎을 맞대고 낮은 목소리로 토론을 거듭하면 모두에게 이로운 창조적인 해결책을 만들어낼 수 있다.
전문적인 기술적 검토나 실태조사 등을 위해 필요하다면 양쪽이 공동추천하는 조사단이나 전문위원회를 구성해 객관적이고 신뢰할만한 보고서를 작성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토대로 양측의 견해차이를 좁혀가면서 가능한 대안을 함께 검토해나가면 서로 만족할 수 있는 해결책을 찾아낼 수 있다고 본다.
전문성을 갖춘 중재인이 이러한 대화의 장을 설계하고 생산적인 방향으로 토론을 이끌면 더욱 바람직한 결과를 낳을 수 있을 것이다.
강영진<미 조지메이슨대학 갈등해결연 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