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사원 최우형(崔雨炯·30)씨는 “이번 사태는 얼마전 서해교전에서 ‘패배’한 북측이 계획적으로 저지른 ‘협박사기극’”이라며 “정부는 햇볕정책의 기조를 유지하되 ‘상호주의’차원에서 줄 건 주고 받을 건 확실히 받아내야 한다”고 지적했다.
대학생 김주연(金珠連·21·한림대 신방과)씨는 “쌀 비료지원 등에도 불구하고 잇달아 ‘물의’를 일으키는 북측에 대한 엄중한 경고와 함께 사태재발방지 약속없이 금강산관광을 추진해서는 안된다”고 말했다.
회계사 박치홍(朴致洪·30)씨도 “이번 사태를 계기로 정부도 북측에 일방적으로 끌려만다니는 ‘햇볕정책’을 재검토해 사안에 따라 ‘일조량’을 조절해야 한다”고 말했다.
시민단체들도 재발방지를 위한 정부의 면밀하고 다각적인 노력을 촉구했다. 경실련 김승보(金承保)정책실장은 “향후 금강산관광이 재개될 경우 관광객들이 북측의 감정을 자극하는‘가시적인반응’을자제하고 정부도 이들의 신변보호에 주의를 기울여야 할것”이라고 밝혔다.
〈윤상호·선대인기자〉ysh1005@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