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지검 특수부가 14일 임창열(林昌烈)경기지사의 부인 주혜란(朱惠蘭)씨를 전격 소환해 조사한 것을 두고 그 배경과 전망에 비상한 관심이 쏠리고 있다.
내년 4월 총선을 앞두고 민심 이반이 심상찮은 상황인데다 증권가 등에서 정관계 인사들에 대한 ‘대대적인 사정설’이 끊임없이 나돌고 있는 시점이기 때문이다.
또 올들어 발생한 각종 악재들로 권위가 추락한 검찰이 정치권을 향해 날을 세우고 있는 것도 심상치 않은 대목이다. 특히 검찰내부에는 여권의 실세는 ‘치지 않고’ 야당의 비리만 ‘들춰 내는’ 식의 사정은 하지 않는 게 오히려 낫다는 공감대가 형성되고 있다.
검찰이 한나라당 김태원(金兌原)전재정국장을 구속한 날 주씨를 전격 소환한 것은 이런 상황적 변수와 밀접한 관련이 있어 보인다.
주씨는 지난해 6월 경기은행이 퇴출되기 직전 로비청탁을 받고 당시 서이석(徐利錫·구속중)행장에게서 거액을 받은 혐의를 받고 있다.
문제는 주씨가 돈을 받은 사실을 경제부총리를 지낸 남편 임지사가 과연 몰랐겠느냐는 점이다.
대검은 이날 오후 인천지검으로부터 주씨의 소환사실을 통보받고 한동안 부산한 움직임을 보였다. 신승남(愼承男)대검차장은 검사장급인 대검부장과 범죄정보기획관 등을 불러 긴급 구수회의를 갖기도 했다.
검찰은 주씨가 김대중(金大中)대통령 내외와 친분이 깊고 수사 전개에 따라서는 임지사에게로 불똥이 튈 가능성이 높다는 점에서 고심하고 있다.
만약 임지사가 부인 주씨가 돈을 받은 사실을 알고 어떤 형태로든 로비과정에 개입했다면 결코 적당히 넘길 수 없을 것이라고 검찰 관계자들은 말한다. 이는 이번 수사가 96년 이성호(李聖浩)전보건복지부장관 부인이 구속된 안경사협회로비 사건 때와는 달리 철저하게 이뤄질 것임을 짐작케 하는 대목이다.
인천지검 유성수(柳聖秀)차장검사는 “주씨의 혐의 사실을 말할 단계가 아니다”며 신중한 태도를 보이고 있다. 하지만 주씨와 같이 여론의 관심을 끌 만한 인물을 딱 떨어지는 자료없이 소환했다고 보기는 어렵다.
이날 대검 간부회의에 이례적으로 범죄정보기획관이 참석한 것도 주씨에 대한 수사가 임지사에게로 확대되는 상황 등 몇수 앞을 내다본 것이라는 관측도 나오고 있다.
과연 검찰이 휴가철을 앞두고 큰 수사를 하지 않는다는 관행을 깨고 본격적인 사정수사에 착수한 것인지 주목된다.
〈최영훈기자〉cyhoon@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