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별수사본부는 전원 서울지검 검사들로 구성돼 있어 사실상 ‘서울지검’이 ‘대검’을 압수수색한 셈. 이는 서열을 중시하는 검찰로서는 상상하기 어려운 초유(初有)의 일이어서 일부 공안부 관계자들은 “해도 너무 하는 것이 아니냐”며 불만을 나타냈다.
대검 공안부 관계자들은 “세상이 어떻게 돌아가는 것이냐” “앞으로 어떻게 얼굴을 들고 다녀야 할지…”라며 한숨을 지었다.
이날 오후 3시40분경부터 시작된 압수수색에는 특별수사본부 소속 윤석만(尹錫萬)서울지검 특수3부 부부장 검사, 컴퓨터 전문가인 이광형(李光珩)서울지검 형사6부 검사, 수사관 8명 등 총 10명이 동원됐다.
김각영(金珏泳)공안부장은 윤부부장 검사로부터 압수수색 취지를 설명듣고는 시무룩한 표정으로 자리를 피해줬으며 해당 사무실 직원들도 순순히 압수수색에 응했다.
압수수색팀은 작년 6월부터 지금까지 작성된 보고서 등 조폐공사 파업과 관련된 일체의 자료와 관련 기록이 담겨 있을만한 컴퓨터 본체를 모두 수사본부가 있는 서울지검으로 옮겼다.
한편 압수수색을 실시할 것인지를 놓고 수사팀 12명 전원이 모여 격론을 벌이는 과정에서 “실효성이 있겠느냐” “쇼로 비쳐질 수도 있다”는 회의론도 있었다. 그러나 총장이 수사팀에 전권을 줬고 모든 의혹을 검증해야 한다는 의견이 우세했다는 것.
특별수사본부는 당초 검찰 수뇌부가 “꼭 그렇게까지 해야 하느냐”며 완곡하게 반대 의사를 밝혔지만 이를 강행했다.
특별수사본부는 정치권과 검찰 내부를 향해 결연한 수사의지를 밝히는 배수진을 치지 않고서는 수사 자체가 성공할 수 없다고 판단한 것으로 전해졌다.
한 관계자는 “김현철(金賢哲)씨 수사의 주임검사였던 이본부장이 당시 김씨의 집을 압수수색하지 않은 것이 ‘천추의 한’으로 남는다며 고심 끝에 결단을 내렸다”고 말했다.
그러나 일부에서는 이번 대검에 대한 압수수색이 향후 정식 임명될 특별검사를 의식한 ‘과잉 수사’가 아니냐는 비판도 나오고 있다.
〈최영훈기자〉cyhoon@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