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이 10일부터 위성TV 본방송을 시작했다. 시청 범위는 아시아 전역을 포함 126개국이고 내용은 관영 조선중앙TV 처럼 오락 스포츠 41%, 보도 23%, 선전선동물 36% 등이다.
개방론자들은 북한의 위성TV 전파를 원천적으로 차단하기 어렵고 분단에 따른 이질성 극복을 위해 문화교류가 필요하다고 말한다. 또 국민 의식수준이 높아져 북한의 선전선동에 현혹될 우려가 없다는 것이다.
결론부터 말하면 북한 TV개방은 시기상조다. 북한 언론의 기능은 우리와는 기본적으로 다르다. 겉으론 중앙방송위원회가 관리하는 것 같지만 실제로는 당선전선동부와 통일전선부가 통제한다. 정치선전 등을 통한 체계결속이 주요 기능이며 알권리 충족이나 비판기능은 찾아볼 수 없다.
공중파 방송을 개방하면 북한의 선전선동 창작물이 우리 안방까지 버젓이 침투하게 된다. 남북한 간에는 문화의 이질성 보다 사상의 이질성이 더 심각하다. 남한은 아직도 민족해방의 대상이며 주체사상으로 통일해야 한다는 대남전략을 수정하지 않았다. 한국정부와 자유민주체제를 비난하는 도구로 위성TV를 이용하는 한 동질성 회복은 어렵다.
위성TV 개방은 상호주의가 전제돼야 한다. 서독은 동독인들에게 접시안테나 등 수신장비를 무상 지원해 서독TV를 여과없이 볼 수 있도록 했다. 북한 주민이 한국TV를 시청하지 못하는 상황에서 남한만 북한TV를 개방하는 것은 문제다.
국민의식이 높아졌다고 하지만 대북인식을 약화시킬 우려가 있다. 국민의 85%는 북한의 실체를 경험하지 못한 전후세대다. 방송 속에 숨겨진 사상적 독소를 가려낼 수 있을까.
방송개방은 장기적인 안보통일정책 등을 고려해 신중히 결정해야 한다. 한번 개방하면 다시 봉쇄하기는 어렵다. 수신장비가 비싸 수요가 많지 않을 것이라는 분석도 있지만 통일전선전술이 파고 들지 못할 만큼 우리 사회가 확고한지 장담할 수 없다. 북한이 적화통일노선을 평화공존노선으로 바꾸는 등 실질적 변화가 선행되지 않은 상황에서 섣부른 TV개방은 위험하다.
박헌옥<북한연구소 상임연구위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