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사 책임자였던 김규섭(金圭燮·당시 서울지검 3차장)대검 공판송무부장은 “검찰은 숨기거나 뺀 것이 없으며 단지 정일순과 이형자(李馨子)씨 중 누구 말을 믿느냐는 판단의 문제”라고 담담하게 말했다.
그는 또 “특검이 수사한 내용은 검찰도 수사한 것으로서 이씨가 지난해 12월18일 옷값 대납요구를 거절했는데 이후 또 1억원을 요구할 이유가 없다는 정씨의 말을 신뢰한 것”이라고 해명했다.
다른 수사검사는 “이해관계가 다 바뀐 상황에서 관계자들이 새롭게 입을 맞추는 것은 당연한 일이다”며 “검찰이 처음부터 잘못했다고 말하면 안된다”고 거부감을 표시했다.
그러나 일선 검사들은 “다른 관련자까지 결과가 바뀌면 검찰이 또 위기에 몰리는 것 아니냐”며 촉각을 곤두세웠다.
검사들은 올 1월 항명파동으로 파란을 겪었던 검찰이 연말을 맞아 또다시 내우외환의 위기를 맞지 않을까 하는 우려감이 팽배하다.
특히 소장검사들은 평민당 김대중(金大中)총재의 북한 공작금 1만달러 수수 및 불고지 사건 재수사가 진행 중이어서 잘못하면 후배가 선배를 조사해야 할지도 모르는 상황에서 특검 수사까지 불거져 나와 결말이 어떻게 나든 검찰조직의 신뢰성이 심대한 타격을 입을 것으로 보고 있다. 한 부장검사는 “중요한 사건의 마지막에는 꼭 검찰의 잘못이 드러나 사방 곳곳이 지뢰밭이라는 생각”이라고 말했다.
〈신석호·정위용기자〉kyle@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