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심의 초점은 문건의 출처다. 문건의 출처가 어디냐에 따라 사건의 성격과 파장이 크게 달라질수밖에 없다.
김 전총장이 입장표명을 결심한 것도 사건의 파장이 계속 확대되는데 대해 큰 부담을 느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그는 자신이 문건전달자라고 보도된 23일 오전부터 측근들과 이 문제를 어떻게 해명할지를 놓고 고심한 것으로 전해졌다.
문건 출처에 대한 발언내용은 대략 세가지 방향으로 추정되고 있다.
첫째는 문제의 문건을 사직동팀에서 입수했다고 밝히는 것. 이것은 곧 큰 파문으로 이어질 수 있다. 권력기관의 기밀누설과 조직적 은폐의혹으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둘째는 검찰조직의 정보라인을 통해 전달받았다고 진술하는 것이다. 이것도 김전총장으로서는 큰 부담. 전달한 검찰 관계자의 기밀누설 혐의가 제기되고 검찰의 공정성이 다시 흔들리는 등 검찰조직 전체가 타격을 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마지막으로 ‘검찰총장 재직시 여러 경로를 통해 여러 종류의 문건을 보고 받았으며 문제의 문건도 그중 하나인데 정확한 출처는 기억할 수 없다’고 하는 가설이다.
검찰 주변에서는 세번째 가능성이 가장 높다고 보고 있다. 김 전총장이 사건의 파문이 확대되는 것을 더이상 원하지 않기 때문에 ‘내가 모든 책임을 지겠다’고 총대를 메고 나설 가능성이 크다는 판단에서다. 한 검찰간부는 “김 전총장이 개인적으로 만신창이가 된 상태에서 마지막으로 조직과 정권의 부담을 덜어주는 선택을 할 가능성이 높다”고 내다봤다.
물론 절충 가능성도 있다.예컨대 ‘검찰이나 사직동팀의 일선 직원들이 전달해줬지만 그들을 밝힐 수 없으며 내가 모든 책임을 지겠다’고 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같은 입장표명이 실제 검찰조직이나 정권의 부담을 덜어주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을지는 의문이다. 국민이 원하는 것은 ‘파문축소’가 아니라 ‘납득할 수 있는 진실’이기 때문이다. 특히 문건 출처에 대해 ‘기억이 안난다’고 말한다면 문건의 중요성에 비춰 설득력이 없을 것이란 견해가 많다.
김전총장이 모든 부담을 감수하고 진실을 말할 가능성도 있다. 김 전총장의 한 측근은 “오늘(23일) 김전총장에게 ‘이제는 진실을 말하는 것 외에는 방법이 없다’고 조언했는데 김전총장도 수긍하는 듯했다”고 말했다.
〈이수형기자〉sooh@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