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대학교수가 ‘고문기술자’라는 말을 써서는 안되는 이유를 조목조목 댔다. 어느 신문에 실린 이 교수의 글을 읽다보니 쓴 웃음을 짓게도 된다. 사전에는 ‘기술이란 공예의 재주나 기예 학문 등으로 인류가 자연을 삶에 유용하도록 개변 가공하는 행위’로 되어 있다. 그런데 고문이 기예나 학문도 아닐뿐더러, 어디 인간생활에 무슨 도움이라도 주느냐는 반론이다.
▽그는 국가기술자격법도 들이댄다. 거기에 기술자란 산업분야에서 유용한 기술을 제공하는 자로 규정되어 있는데 고문이 과연 ‘산업’일 수 있느냐는 것이다. 또 건설기술자격관리법에는 ‘기술 자격’이 있어야 기술자인데 고문기술자라는 자격이 어느 법에 있느냐고 묻는다. 전국의 400만 기술자를 욕되게 하는 그런 표현을 언론에서 삼가라는 촉구다.
▽재(再)반론도 있긴 하다. 절도기술 사격기술 같은 범죄나 인마살상의 표현에도 기술이 붙는 수가 있다. 또 기술을 뜻하는 영어 아트는 ‘결합하고 짜맞춘다’는 어원에서 비롯한다. 그래서 고문도 사건조사 과정의 억지 ‘짜맞추기’니까 아트에 맞아떨어진다(?)는 억설을 펴기도 한다. 하지만 인간에 대한 수성(獸性)의 공격인 고문이 사라져야 할 범죄이듯, 고문기술자라는 단어도 삼가야 한다. 참 기술자들에게 주는 고통 때문에도 그렇고, ‘미운’ 혐의자 이근안씨에 대한 또다른 언어 ‘고문’이기에.
김충식〈논설위원〉searskim@donga.com
구독
구독
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