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주선(朴柱宣)전대통령법무비서관이 청와대 사직동팀(경찰청 조사과)의 옷 로비 의혹사건 내사 최종보고서를 김태정(金泰政)전법무부장관에게 전달한 것에 책임을 지고 사직했음에도 사태가 진정되기는커녕 오히려 불길이 청와대 검찰 등 권력기관으로 비화되고 있는 양상이다.
김대중(金大中)대통령이 “보고 경위에 잘못이 있으면 엄벌하겠다”고 진노한 것으로 알려지자 검찰도 바짝 긴장하는 눈치다.
검찰 수뇌부는 이날 최종보고서를 입수해 검토하는 등 관련자들의 사법처리 문제가 검찰로 넘어올 가능성 등에 대비하고 있다.
검찰 관계자들은 배정숙(裵貞淑)씨측이 공개한 ‘사직동 문건’이 “그런 보고서를 보고받은 일도, 만든 일도 없다”는 박전비서관의 부인에도 불구하고 사직동팀이 만든 최초보고서로 밝혀질 경우 또다른 파문에 휩싸일 것으로 우려한다. 이 경우 사직동 보고서의 축소조작이 확인되는 셈이기 때문.
검찰이 고심하는 문제는 또 있다. 사직동팀의 조사 결과를 토대로 6일이라는 짧은 기간에 초고속으로 진행된 옷 로비 의혹사건에 대한 검찰수사 역시 공정성과 신뢰성을 유지할 수 없게 됐기 때문.
한편 이 사건의 내사를 담당한 청와대 사직동팀도 축소조작의 실행기관이라는 따가운 시선을 피할 수 없게 된 것은 물론이고 관련자들의 책임 문제도 거론될 전망이다.
〈최영훈기자〉cyhoon@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