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청 생활시간 조사]하루평균 8시간42분 일한다

  • 입력 2000년 7월 26일 18시 20분


우리나라 국민은 평일 밤 11시26분에 잠자리에 들어 평균 7시간47분간 잠을 자며 하루 세끼 식사하는 데 1시간33분을 쓴다. 또 하루평균 8시간42분 일하고 여가활동에 5시간을 사용하며 취업자 20명 중 1명은 주 5일 근무한다.

통계청은 26일 국민이 하루 24시간을 어떻게 보내는지 알아보기 위해 지난해 9월 전국 10세 이상 남녀 4만2973명을 대상으로 처음 실시한 ‘생활시간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앞으로 5년마다 실시될 이 조사에는 수면 식사 세면 근로 가사 학습 이동 교제 취미활동 등의 시간사용 내용이 성별 연령별 지역별로 정리돼 있다.

▽출퇴근 등에 1시간12분 사용〓아침식사 시작은 오전 7시46분이며 식사에 걸리는 시간은 23분. 저녁식사는 오후 7시22분에 시작돼 30분 정도 소요된다. 오전 중 식사를 하지 않는 사람의 비율은 여자(10.5%)가 남자(8.8%)보다 높다. 특히 20대 미혼여성의 경우 4명 중 1명꼴로 아침식사를 거른다.

토요일 취침시간은 평일보다 6분 늦은 밤 11시32분이지만 일요일 밤엔 11시18분으로 당겨진다. 일요일 수면시간은 평일보다 44분 많은 8시간31분.

취업자가 평일에 출퇴근 및 업무와 관련해 이동하는 시간은 1시간12분. 서울지역 임금근로자는 출퇴근하는 데 1시간20분을 사용해 49분으로 가장 적은 충남과 전남보다 31분 더 걸린다.

▽하루 7시간25분 일하고 고교생은 10시간 이상 공부〓20세 이상 성인 3명 중 2명(65.8%)은 평일에 10분 이상 일을 한다.

하루평균 가사에 쏟는 시간은 전업주부가 5시간39분, 취업주부는 3시간20분. 성인여성 중 84.9%가 식사준비와 설거지를 하는 데 매일 2시간씩 사용한다. 취업주부의 경우 평일 수면량은 7시간10분으로 남자보다 13분 적다. 반면 직장 업무와 가사를 합해 일하는 시간은 9시간23분으로 남자 취업자(7시간31분)보다 훨씬 많다.

학생의 평일 학습시간은 초등학생 7시간20분, 중학생 8시간52분, 고교생 10시간7분으로 고교생은 하루의 42%를 공부하는 데 쓰는 셈.

▽국민의 90%가 하루 10분 이상 TV 시청〓평균 TV 시청 시간은 평일 2시간47분, 일요일 3시간54분.

신문은 남자가 여자보다, 미취업자가 취업자보다 많이 읽는데 평일에는 남자의 28%가 평균 39분 읽고 일요일에는 23%가 41분 읽는다.

하루 10분 이상 컴퓨터를 이용하는 사람들의 평균 이용시간은 평일 1시간26분, 일요일은 2시간6분. 특히 초등학교 남학생 중 66.4%가 일요일에 평균 2시간24분 컴퓨터에 매달린다.

국민 4명 중 1명(24.6%), 취업자 3명 중 1명(33.6%)은 시간이 항상 부족하다고 느끼며 업무 후 피곤함을 느끼는 취업자도 85.4%에 달했다.

<박원재기자>parkwj@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