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와 관련해 의료계 내부에서는 8·15 남북이산가족 상봉 행사기간(15∼18일)에는 휴폐업을 유보하자는 의견도 제기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대한의사협회 산하 의권쟁취투쟁위원회는 12일 중앙위원회를 열어 ‘비상공동대표 소위원회’를 설치했다. 의쟁투 중앙위원과 전공의 대표(각 2명) 의협상임이사 의대교수 전임의 개원의 병원의사 의대학생(각 1명) 등 의료계 직능대표 10명으로 구성된 비상소위는 정부와의 공식적인 대화창구 역할을 하게 된다.
주수호(朱秀虎)의쟁투 대변인은 13일 “비상소위는 지금까지 제기됐던 의료계 내부의 다양한 요구사항을 처음부터 심도 있게 재검토해 정부가 대화를 요청하면 언제든지 협상에 임할 것”이라고 말했다.
참여연대와 경실련 등 100여개 시민단체가 참여한 ‘의약분업 정착을 위한 시민운동본부’ 및 노동계와 종교계는 13일 ‘국민건강권 수호와 의료계 집단폐업 철회를 위한 범국민대책회의’를 발족하고 본격적인 범국민 저항운동에 나섰다.
범국민대책회의는 의료계와 정부에 폐업 즉각 철회, 국민부담 전가하는 정부대책 철회 등을 요구하는 한편 폐업 철회 서명운동과 차량경적시위, 손해배상청구소송 제기 등을 준비 중이다.
한편 정부는 보건의료정책을 개선하기 위한 특별위원회를 구성하고 의약분업 평가단과 감시단 운영방침을 밝히는 등 의료계 요구를 적극 수용하며 진료 복귀를 호소했다.
이한동(李漢東)국무총리는 특별담화문을 발표해 “어떠한 경우에도 의사가 환자 곁을 떠날 수는 없으므로 지금 즉시 구원의 손길을 애타게 기다리는 환자 곁으로 돌아가 달라”고 호소했다.
<송상근기자>songmoon@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