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생동물 보전에 있어 가장 중요하고 기본적인 방법은 자연을 있는 그대로 보존해 동물들이 살 수 있는 터를 마련해 주는 것이다. 이것을 ‘서식지 내 보전’이라고 한다. 그러나 이상적인 서식지 내 보전은 꿈에서만 존재할 뿐 실제로는 매일 반대현상이 벌어지고 있다.
이런 현실을 인정하고 멸종위기 종들을 일시적으로 동물원과 같은 보전기관에 수용하고 번식시켜 그 명맥을 잇게 했다가 훗날 기회가 되면 다시 자연으로 돌려보낼 수 있도록 하자는 것이 ‘서식지 외 보전’이다.
우리나라에도 이러한 서식지 외 보전의 필요성을 인정해 환경부는 4월 12일 국내 최초로 서울대공원을 ‘서식지 외 보전기관’으로 지정했다. 그러나 지정하는 것만으로는 아무 것도 할 수 없다. 필요한 것은 과학적인 시설과 전문가에 의한 번식계획 및 연구이다.
지난해 북한에서 동물들이 들어 온 이후 서울대공원과 서울대 수의과대학은 공동으로 야생동물의 체계적인 번식 및 보전을 위한 연구를 시작했고 이의 지속적인 수행을 위한 지원을 서울시와 환경부에 요청했다. 그러나 정부의 지원은 거부됐으며 서울시도 관련 예산을 대폭 삭감할 예정이라 하니 이 사업의 원활한 추진 여부가 불투명하게 됐다.
백두산호랑이의 씨를 보전하기 위한 이 사업에 정부와 서울시의 지원을 다시 한번 호소한다. 호랑이는 88서울올림픽의 마스코트였고 지금 서울시를 상징하는 캐릭터이다. 대한민국 정부와 서울시는 호랑이에게 적어도 로열티는 지불해야 하지 않겠는가!
이항(서울대 교수·수의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