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일자 A19면에 실린 ‘뒤로 가는 기록문화 정책’ 기사를 읽으며 참으로 안타까운 생각이 들었다. 우리는 세계사적으로도 유명한 기록문화의 전통을 갖고 있다. 세계기록문화유산으로 인정받은 조선왕조실록의 출간이 그것이다. 이 방대한 실록의 편찬을 위해서는 우수한 편찬자, 엄정한 내용, 보관방법이라는 세 가지가 필요했다. 우선 기록 및 편찬자들은 인재들이었고 그 내용은 왕도 함부로 볼 수 없었다. 특히 실록은 서울의 춘추관뿐만 아니라 재해로부터 안전한 전국의 깊은 산중에도 사고(역사도서관)를 지어 보관했다.
지금은 보관하기가 훨씬 쉬워진 시대다. 그런데 정부는 회의록을 작성할 때 발언내용이 아니라 발언요지로 기록하려 하고 있다.
해당분야 종사자의 자격도 석사학위 소지자에서 공무원 출신으로 낮추고 있다. 이는 실로 기록문화의 후퇴를 의미한다. 있는 그대로의 자료를 후세에 남기는 것은 섣부른 요약이나 평가보다 훨씬 가치있다. 우수한 역사가들이 객관적이고도 엄정한 역사를 편찬해 소중히 보관해 온 것처럼 오늘을 사는 우리도 후세를 위해 있는 그대로의 모든 원자료를 남겨줄 수 있도록 정부는 방안을 강구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