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는 3일 경기교육대 설립과 시청사 건립, 벤처단지 조성 등 도와 각 시군이 계획중인 대규모 공공사업에 필요한 부지확보를 위해 정부와 협의해 이들 지역을 광역도시계획상 조정지역에 포함될 수 있도록 추진키로 했다고 밝혔다.
그린벨트지역이라도 광역도시계획상 조정지역으로 분류되면 도시계획을 수립해 개발할 수있다.
대상지역은 △시흥시 포동 폐염전부지 198만평, 정왕동 토취장부지 211만평, 신천동 11만평 △안양시 석수동 석산부지 9만평 △광명시 일직동 56만평 △과천시 과천동 50만평 △의왕시 학의동 35만평 △하남시 미사동 67만평, 신장동 26만평 △성남시 여수동 10만평 등이다. 시흥 폐염전부지와 토취장부지는 시흥시가 소래권 개발 등을 위해 토지이용규제완화를 추진중인 곳으로 모두 410만평 규모에 이른다. 또 안양 석산부지는 경기도가 경기교육대 설립부지로 개발할 계획이며, 성남시 여수동은 성남시가 신청사 부지로 정해놓은 곳이다.
이 밖에 광명시 일직동은 고속철도 역세권 개발후보지로, 과천시 과천동은 경기도 벤처단지 후보지로 꼽히는 곳들이다.
도관계자는 “정부가 올 7월 광역도시계획을 확정짓기 위해 국토연구원에 의뢰해 전국 그린벨트에 대한 환경영향평가를 실시중”이라며 “이들 지역은 보전가치가 낮아 그린벨트의 기능이 상실된 지역”이라고 말했다.
<수원〓남경현기자>bibulus@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