합의안에 따르면 판교 신도시 개발면적은 총 281만8000평으로 정해졌고 당초 55만평(19.5%)으로 잡혀 있던 벤처용지는 65만평(23.1%)으로 늘어났다. 대신 상업용지를 18만평(6.4%)에서 8만평(2.8%)으로 줄이기로 했다.
주거용지는 성남시의 개발안인 55만평(19.5%)을 유지하되 인구를 9만3000명에서 5만7000명으로 줄여 저밀도 개발을 추진한다는 것이다. 경기도와 성남시는 판교 개발에 따른 교통혼잡을 막기 위해 주요 간선도로를 국비로 건설해 주도록 정부에 요구하기로 했다. 도와 시는 이달 안으로 합의안을 기초로 한 택지개발 사업계획을 마련해 지구지정을 건설교통부에 신청할 계획이다.
이번 합의를 계기로 판교 개발이 다시 뜨거운 쟁점으로 떠오를 전망이다.
정부와 민주당은 지난해 12월 화성신도시 개발만 확정한 채 판교 개발을 1년간 유보했었다. 정부측은 도로 전철 등 기반시설 조성비를 조달하려면 화성과 판교를 함께 개발할 수 밖에 없다는 판단을 하고 있다.
건설교통부 관계자는 “개발을 미루는 것만이 능사가 아니라는 인식이 민주당 내에서도 설득력을 얻어가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며 “민주당이 입장을 바꾼다면 올 상반기 중 판교 개발이 다시 추진될 수도 있다”고 말했다.
<성남〓남경현기자>biblus@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