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을 지어도 팔리지 않고 공사발주도 거의 없다. 목포 대불공단에선 공장부지 분양 가격을 크게 낮추어도 입주업체가 나타나지 않는다. 반월 안산 등 전국 25개 기존 지방공단의 가동률도 떨어져 새로운 공단조성 공사에 나설 수도 없다.
▽건설업 위축 심각하다〓22일 건설교통부에 따르면 지난해말 기준 건설업의 실업자수는 89만명으로 집계됐다. 전달에 비해 10만명 늘어난 것이다. 또한 짓다가 만 아파트는 지방을 중심으로 1211동, 12만1700여가구에 이른다. 지난해 11월말 기준으로 아파트를 다 짓고도 분양되지 않은 아파트는 5만8300여가구.
통계청은 국내총생산(GDP)에서 차지하는 건설업 비중이 97년 13.2%에서 99년 9.8%로 줄었다고 밝혔다. 수도권은 11.2%에서 8.7%로 줄어든 반면 수도권을 제외한 지역에서는 15.1%에서 10.8%로 줄었다.
전국의 건설업이 어느 정도 위축됐는지는 3, 4년 후 경기를 가늠할 수 있는 건축 허가면적의 감소에서도 나타난다. 건축허가 면적은 97년 전국평균 1억1337만㎡에서 2000년(11월 기준) 7459만㎡로 줄었다. 지난 4년 동안 경제규모가 커지는 가운데에서도 건축허가면적만큼은 오히려 줄어든 것.
건설경기의 한 지표인 땅값도 지방의 둔화세가 두드러진다. 지난해 초부터 3분기까지 전국지가는 평균 1.14% 올랐으나 대전의 경우 오히려 0.28% 내렸다. 서울(1.14%) 인천(1.17%) 경기(1.71%) 강원(1.27%)지역이 전국 평균을 웃돌았을 뿐 대구(0.38%) 광주(0.34%) 충남(0.90%) 울산(0.46%) 등은 오름세가 미미했다.
▽어려움 한둘 아니다〓건교부 정락형(鄭樂亨) 건설경제국장은 “주택보급률이 100%에 육박할 정도로 주택 보급이 포화상태에 이른 것이 가장 큰 원인”이라고 말했다. 대구 동구 효목동 소재 경일건설의 이종연(李鍾淵) 사장은 “97년에 비해 공공발주 공사량이 60%로 줄었다”며 “지자체의 재정난으로 공사대금의 지급이 늦어지는 것도 어려움을 가중시키는 요인”이라고 지적했다.
김주일(金周一·금성건설사장) 대전상공회의소 회장은 “90년대 초 충남북을 합친 건설업체수가 50여개에 불과했으나 현재는 400여개에 달하는 등 중소건설업체의 난립이 심각하다”며 “경쟁력 있는 건설업체만이 살아남을 수 있도록 제도적인 여건이 마련돼야 한다”고 말했다.
▽대책은 없나〓정부는 올해 전국 6개 도시에 신시가지를 건설하는 등 다양한 건설경기 부양대책을 내놨다. 건설업체 등록기준 강화와 자본금 규모의 금융기간 보증능력 확인서 매년 제출 등을 통해 건설업체 난립을 막는다는 계획도 밝혔다. 그러나 과감한 사회간접자본(SOC) 확충과 전반적인 경기가 살아나지 않는 한 지방건설업체의 어려움은 쉽사리 해결되지 못할 전망이다.
<구자룡기자>bonhong@donga.com
구독
구독
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