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는 ‘한계상황’에 이른 도심 교통난 해소를 위해 경전철이 최선책이라며 강남지역에 우선도입을 목표로 노선 및 차종의 연구용역을 진행중이다.
그러나 대중교통의 이용편의 개선, 승용차 운행제한 등 근본적인 대책 없이 수천억원의 예산을 투입해 ‘신교통수단’을 도입하는 것은 ‘땜질처방’이라는 내부반론이 만만찮다.
또 공사에 따른 교통혼잡과 운송분담 효과에 대해서도 이견이 많은데다 노선 인근 건물주들의 반발 등 풀어야 할 ‘숙제’도 산적하다.
▽추진실태〓서울시는 용역결과를 토대로 연내에 강남 ASEM무역센터 일대의 경전철 사업계획을 최종 확정한 뒤 업체를 선정해 내년에 착공, 2004년 시범운행에 들어갈 계획이다. 이후 여의도, 신림, 잠실, 도심 등 나머지 4곳에 대해서도 도입을 확대할 방침이다. 현재 검토중인 경전철은 1량당 40∼90인승의 자기부상열차와 모노레일, 40∼100인승의 피플무버(DPM), 1∼4인승의 개인교통수단(PRT) 등. 최근 서울시 산하 시정개발연구원은 공청회를 열고 이 중 공사비가 저렴하고 부지면적이 적게 소요되는 모노레일을 최적시스템으로 발표했다. 또 강남지역의 노선은 탄천주차장∼삼성역∼ASEM단지∼선릉역∼역삼역∼강남역에 이르는 7.1km 구간이 최적노선으로 제시됐다.
▽문제점〓지하철, 버스 등 기존 대중교통수단이 적자에 허덕이는 상황에서 2000억원의 사업비를 민자유치로 조달한다는 서울시의 복안에 대해 내부적으로도 회의적인 시각이 지배적이다. 게다가 운행에 따른 적자까지 떠안을 경우 이미 수조원의 지하철 빚더미에 눌린 서울시의 재정압박이 극심해질 것은 불을 보듯 뻔하다.
한편 강남지역의 경우 도로여건을 무시한 채 무분별하게 들어서는 대형건축물의 규제 없이는 ‘백약이 무효’라는 지적이 높다. 또 교통전문가들은 지역 내 통행보다 외곽에서 유입되는 차량이 대다수인 강남의 교통수요를 감안할 때 지역 내 단거리 순환운행에 그치는 경전철로는 실효를 기대하기 힘들다고 입을 모은다. 이 밖에 경전철 예정노선 인근의 다수 건물주들도 전철의 건물 앞 통과와 건물 내 역사설치에 반대해 난항이 예상된다.
시 관계자는 “지하철 2, 7호선 외에 9호선 공사도 예정된 강남지역의 경전철 사업은 중복투자의 가능성이 높다”며 “운송능력도 지하철의 절반에 불과해 수송분담 효과에 대해서도 회의적인 내부지적이 높다”고 말했다.
▽향후전망〓경전철 사업의 성패는 현재 수송분담률은 20%인 반면 도로점유율이 62%에 달하는 자가용 수요를 얼마나 흡수하느냐에 달려 있다. 따라서 노선 인근에 대규모 주차시설을 갖춰 경전철의 이용편의를 증진하는 노력이 ‘선결과제’.
이와 함께 차량2부제, 시내주차요금 인상 등 교통억제정책도 병행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교통문화운동본부 박용훈소장은 “지하철과 버스노선의 효율적 연계, 입체고가로 건설 등 기존 교통환경의 개선노력이 선행돼야 한다”며 “경전철 도입노선에 대해 순환버스 등을 운영해 정확한 교통수요를 산출하는 등 치밀한 사전준비도 필요하다”고 말했다.
<윤상호기자>ysh1005@donga.com
구독
구독
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