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론 현행 대입 수능시험에 ‘듣기’ 문제가 포함돼 과거에 비하면 어느 정도 진전을 가져온 것은 사실이다. 하지만 듣기 문제의 수준이 읽기 문제의 수준보다 지나치게 낮아 영어 수업을 말 중심으로 바꾸기에는 여전히 역부족이다.
읽기에 있어서도 대의를 묻는 유형의 문제가 대부분이어서 학생들은 글의 정확한 이해보다는 개략적 이해에 치중하게 되었다. 그 결과 많은 학생들이 영어 학습의 목적을 문제를 푸는 요령의 터득에 두게 되어, 글을 이해하지 못하면서도 정답을 골라내는 기이한 현상이 만연하게 되었다. 이래서는 영어로 자신의 의사를 표현하는 기능을 절대로 터득할 수 없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음 몇 가지를 제안한다.
우선 듣기문제와 읽기문제의 수준을 균형있게 맞추어야 한다. 필요하다면 읽기 수준을 낮춰서라도 듣기 수준을 높여야 한다. 이래야 영어수업 시간에 ‘소리’가 우선적으로 고려될 수 있다.
둘째, 듣기 및 읽기를 막론하고 영어 시험에 사용되는 지시문이나 보기는 모두 영어로 해야 한다. 현재는 질문이나 보기에 우리말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아 추측으로 정답을 고를 수 있는 여지가 많다. 질문이나 보기를 제대로 이해하지 않고서는 정답을 고를 수 없게끔 하여 야 한다.
마지막으로 수능시험에 표현 기능(말하기나 글쓰기)을 반영해야 한다. 그러나 현재의 여건에서는 ‘말하기’ 기능을 측정하기는 어려울 것이므로 최소한 영어로 글을 쓰는 문제가 포함되어야 한다. 이래야 영어교육 현장에서 표현 기능에 관심을 갖게 될 것이다.
한학성(경희대 교수·영어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