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타는 국토-5]한국인 하루 395리터 '펑펑'

  • 입력 2001년 6월 8일 18시 41분


《적도 근처 남태평양의 소국(小國) 투발루. 지구온난화로 해수면이 상승, 나라 전체가 바닷물에 잠길 위기에 빠져 있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세계의 이목을 끌었다. 전세계에서 가장 물이 귀한 나라에 속한다. 9개의 산호섬 군(群)으로 이뤄진 이 나라의 인구는 1만1000여명이고 수도 푸나푸티의 주민 수는 불과 2700여명. 웬만한 대학 캠퍼스 크기의 작은 섬 안에 하천이나 호수가 전혀 없기 때문에 물은 그야말로 ‘생명수’다. 집집마다 빗물을 받아두는 물탱크가 있지만 식수는 크게 부족하다.》

▼글 싣는 순서▼

1. 물물물…목타는 국토
2. 요르단강을 잡아라
3. '아랍형' 남의 일 아니다
4. 물부족, 과학으로 해결?
5. 물은 생명이다

일본이 99년 9월 바닷물을 담수화하는 장비를 푸나푸티에 설치, 식수난 해소에 도움을 주었다. 이 때문에 투발루 국민은 일본을 ‘최고의 나라’라고 생각하고 있어 성공적인 ‘물외교’를 벌인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반면 캐나다는 세계에서 세번째로 큰 담수호인 휴런호를 비롯해 수천∼수만㎢ 면적의 담수호가 널려 있는 최고의 ‘물 풍요 국가’다. 수자원 전문가들은 “물 부족 시대에 캐나다는 ‘물장사’만 해도 오랫동안 풍족하게 먹고 살 수 있을 것”이라 말하고 있다.

이들 두 나라는 물의 가치를 보여주는 상반된 사례다. 물은 이스라엘과 아랍권의 경우처럼 분쟁의 원인이 되고 투발루와 일본의 경우처럼 ‘외교’의 대상이 되기도 한다.

전문가들에 따르면 지구에서 인류가 1년간 사용할 수 있는 물의 양은 9000㎦이며 이 중 실제 쓰는 양은 절반 정도인 4300㎦로 추정된다. 수치만 놓고 보면 아직 물은 여유가 있다고도 볼 수 있다.

그러나 인구 증가에 따른 물 사용량의 급증, 수자원의 지역 편중, 기상이변으로 인한 가뭄과 홍수의 반복 등으로 인해 물 부족 인구는 갈수록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지난해 3월 네덜란드 헤이그에서 열린 제2차 세계 물 포럼은 “2025년 세계의 물 수요량이 95년보다 약 40% 증가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또 유엔 산하 국제기후변화회의도 올 초 발표한 ‘기후변화 2001’ 보고서를 통해 “21세기 지구는 고온 가뭄 홍수 등의 이상기후와 인구증가로 극심한 물 부족 사태에 직면할 것”이라고 밝혔다.

물 부족은 식량 문제와도 직결된다. 국제 물관리연구소는 최근 “세계 식량의 절반을 생산하는 중국 인도 미국의 지하수면이 갈수록 낮아지고 있다”고 우려했다. 예컨대 인도의 경우 물 고갈로 수년 내 곡물 생산량이 최고 4분의 1까지 줄어들 수 있다는 분석이다.

최근 극심한 가뭄 및 물 부족 사태를 겪으면서 우리나라도 물 안전지대가 아니라는 점이 드러나고 있다. 세계자원연구소가 분석한 우리나라 1인당 사용 가능 수자원(2000년 기준)은 연간 1384t으로 전세계에서 36번째로 적다. 게다가 2025년에는 1258t으로 떨어질 전망이다. 유엔 국제인구행동연구소는 93년부터 우리나라를 물 부족 국가로 분류해 놓고 있다.

그러나 국민 사이에는 여전히 “물은 대체할 수 없는 자원이자 생명의 근원”이라는 인식은 희박한 편이다. 인하대 심명필 교수(토목공학)는 “물을 흥청망청 낭비하는 행태를 바꿔야 하며 정부는 미래의 물 부족에 대비한 ‘수자원 10년 계획’을 마련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우리나라의 1인당 하루 물 사용량은 395ℓ로 국민소득에 비해 아주 많다. 세계 최대의 자원 소비국인 미국의 1인당 하루 물 사용량 585ℓ보다는 적지만 독일(132ℓ) 덴마크(246ℓ) 프랑스(271ℓ)보다는 훨씬 많다.

이는 물 값이 낮은 것과도 관련이 있는 것으로 풀이되고 있다. 환경부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가정용 수돗물 값은 t당 평균 276원(업무용 영업용까지 합하면 t당 396.9원).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의 6분의 1∼3분의 1 수준이다. 4인 가족 평균 물 값이 월평균 1만원 정도에 불과하다.

연세대 노수홍 교수(환경공학)는 “독일은 수돗물 값을 올려 물 절약에 성공했다”며 물 값 현실화를 주장하고 있다. 우리나라가 물 사용량을 현재보다 10% 정도 줄이면 연간 4억1000만t의 물을 아낄 수 있다는 분석도 있다. 이는 영월댐 2개를 짓지 않아도 되는 효과를 가져올 수 있는 것이다.

또 생활하수나 공장폐수를 상수원에 마구 버리면서 깨끗한 물을 먹겠다는 ‘도덕적 해이’도 바로잡아야 한다는 지적이다. 환경부 남궁은 상하수도국장은 “수질이 나빠져 먹는 물, 또는 농업용수 공업용수로 사용할 수 없다면 그 자체가 물 부족의 원인이 된다”면서 “수질 개선에 드는 비용도 결국 국민의 혈세가 아니냐”고 말했다.

이화여대 박석순 교수(환경공학)는 “물 절약만으로는 부족하다”면서 “정확한 물 수요량 예측을 통해 환경친화적 댐 건설도 병행해야 한다”고 말했다. 또 낡은 수도관을 통해 버려지는 수돗물이 연간 10억t(누수율 약 18%)으로 추정되는 만큼 낡은 수도관 교체를 위한 중앙 정부의 지원과 지방자치단체의 관심이 절실하다는 것이다.

<정용관기자>yongari@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