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지역에서 바닷모래 채취량이 가장 많은 신안군과 진도군은 목포, 제주지역 골재 채취업자들로 구성된 서남부지역 바다골재협회와 함께 이달말부터 2003년 9월까지 바닷모래 채취에 따른 해양 환경영향평가 용역을 전문기관에 의뢰했다고 14일 밝혔다.
이번 조사에는 여수대와 한국지질자원연구원, 한국해양연구원 등이 참여하며 바닷모래 채취지역과 주변 해역에 대한 해양생물의 생태변화, 퇴적물 이동에 따른 환경변화, 양식장 피해 여부 등을 조사하게 된다.
신안군의 경우 91년부터 매년 1년 단위로 바닷모래 채취 허가를 내줘 지난해 채취량이 243만㎥로 30억원의 세외수입을 올렸으며 진도군도 올해 53㎥를 비롯해 해마다 180만∼368만㎥를 허가해주고 있다.
이처럼 자치단체들이 세수입 증대를 이유로 바닷모래 채취 허가를 남발하자 어민들과 환경단체는 천혜의 해수욕장 모래가 유실되고 어패류 산란지가 훼손되는 등 해양 생태계가 파괴되고 있다며 대책마련을 요구해왔다.
이에따라 양 자치단체는 용역비 6억5000만원 중 30%를 부담하고 나머지 70%를 서남부지역 바다골재협회가 부담하는 조건으로 용역계약을 체결했다.
목포환경운동연합 ‘바닷모래 지키기 특별위원회’ 신대운위원장(46)은 “이번 환경영향평가로 바닷모래 채취에 따른 생태계 훼손 정도가 어느 정도인지를 알 수 있을 것”이라며 “이번 용역이 객관성을 잃지 않도록 감시활동을 벌일 계획”이라고 말했다.
<신안〓정승호기자>shjung@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