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에 따라 당시 검찰이 정치적으로 미묘한 사안에 대해 조직적으로 진상을 은폐한 것이 아니냐는 의혹이 제기되고 있다.
▼관련기사▼ |
17일 검찰과 국정원 금융업계 등에 따르면 서울지검 특수2부는 지난해 12월 한국디지탈라인(KDL) 정현준(鄭炫埈·33·구속수감중) 사장의 불법대출 사건을 수사하던 중 동방금고 이경자(李京子·57·〃) 부회장에게서 당시 국정원 김형윤 경제단장(현 국정원 산하 정보학교 교수)에게 5000만원을 줬다는 자백을 받아냈다.
당시 이 부회장은 “금감원이 동방금고를 조사하는데 잘 처리될 수 있도록 해달라”는 청탁과 함께 김 전단장에게 현금 5000만원을 줬다고 진술했다.
이 부회장은 “올해(2000년) 금감원의 동방금고에 대한 조사가 있기 직전 모 인사를 통해 김 전단장을 만났으며 그에게 현금 5000만원이 담긴 쇼핑백 1개를 건네줬다”고 진술했다.
수사팀은 이 같은 내용의 피의자 신문조서까지 받았으며 이를 근거로 김 전단장을 소환해 조사한 뒤 특정범죄가중처벌법상의 알선수재 혐의 등으로 구속영장을 청구하기로 의견을 모았던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검찰 수사지휘부의 반대로 김 전단장에 대한 사법처리는 이뤄지지 않았던 것으로 알려졌다.
당시 검찰 지휘부가 무슨 이유와 근거로 김 전단장에 대한 수사 중단을 지시했는지는 알려지지 않았으나 김 전단장의 구속여부를 둘러싸고 수사팀과 지휘부 사이에 심각한 갈등이 있었던 것으로 전해졌다.
한편 김 전단장은 이 사건이 국정원 감찰실에 알려져 올해 초 당시 임동원(林東源) 국정원장에게서 경고처분을 받았으나 이에 대해 국정원 내부에서도 ‘솜방망이 처벌’이라는 비난이 일자 국정원은 올 6월 한직인 정보학교 교수로 발령을 낸 것으로 알려졌다.
김 전단장은 목포중 광주상고를 나와 중앙대 총학생회장을 지냈으며 광주에서 근무하던 중 현 정권이 들어서면서 요직에 발탁돼 경제과장 경제단장을 연이어 역임했다.
<이명건기자>gun43@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