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찰은 이날 “이제부터 형사처벌과 공소유지를 위해 보안을 유지하겠다”며 “사건의 윤곽이 거의 드러났고 진실에 근접해 간다”고 밝혔다.
검찰은 29일에는 “이무영(李茂永) 전 경찰청장을 직접 만나 사건의 진상을 알려줬다”는 김모 전 국가정보원 대공수사국장의 진술을 공개했고 이 전 청장의 형사처벌 가능성도 언급했다.
이례적으로 공식 브리핑에서 앞으로 예상되는 결과까지 언급한 것은 검찰이 자신감을 가질만한 특별한 ‘근거’를 확보했기 때문이 아니겠느냐는 관측을 불러일으켰다.
그러나 이 전 청장이 이날 오후 김 전 국장의 진술을 정면으로 반박하는 경위서를 배포한 직후부터 검찰의 태도가 바뀌었다.
검찰 관계자는 30일 “어느 정도 예상은 했지만 (이 전 청장이) 이렇게 통째로 부인할 줄은 몰랐다”고 말했다. 이 말을 뒤집으면 검찰은 당초 김 전 국장의 진술을 상당히 믿은 것으로 볼 수 있다.
이 전 청장이 반박한 핵심적인 내용은 김 전 국장뿐만 아니라 부하직원들에게서조차 이 사건의 진상을 구체적으로 들은 적이 없다는 것. 이 전 청장은 특히 11월 15일 김 전 국장이 ‘나 대신 당시 엄익준(嚴翼駿·작고) 국정원 2차장이 전화해서 처리한 것으로 해달라’고 요구해 이를 거절했다고 주장했다.
따라서 검찰의 태도변화와 “언제든지 검찰에 나가 조사를 받겠다”고 한 이 전 청장의 ‘자신감’ 등을 감안할 때 이 전 청장의 이 같은 주장이 사실로 확인될 가능성도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명건기자>gun43@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