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혜의 자연환경으로 부산시민들의 발길이 끊이지 않고 있는 다대포항 개발을 놓고 지역주민과 환경단체의 반발이 드세지고 있다. 이들은 먼저 다대포항 개발계획을 백지화한 뒤 원점에서 친환경적인 개발계획을 다시 수립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개발계획〓해양수산부는 늘어나는 물동량에 대비하기 위해 ‘전국무역항 항만기본계획’에 따라 부산 사하구 다대포항 매립계획을 지난해 수립한 뒤 29일 중앙항만심의위원회의 심의를 끝냈다.
이 계획에 따르면 부산시는 2011년까지 5254억원의 사업비를 투입, 다대포항 외곽시설 1.2㎞와 안벽 593m를 설치하고 36만여평을 매립해 일반부두 6개 선석과 철재부두 3개 선석을 건설, 연간 420만t의 물동량을 처리할 수 있게 한다는 계획.
이는 기존 부산항 북항의 일반부두 기능과 감천항의 기능 일부를 다대항으로 옮기고 북항은 부산신항과 함께 컨테이너 전용항만으로, 감천항은 수산물 및 연안화물 전용항만으로 재배치 한다는 것.
해양수산부는 이 개발계획이 주민들의 반대로 추진이 어려울 경우 사업비를 인근 마산이나 울산 등으로 돌릴 수 밖에 없다는 입장인데 반해 부산시는 이 계획을 추진하기 위해 안간힘을 쏟고 있다.
▽지역 및 환경단체 입장〓이들은 “부두 개발로 인근 대규모 아파트단지 주민들의 환경권이 침해될 우려가 큰 데다 인근에 있는 천혜의 자연절경인 몰운대가 훼손될 위험이 높다”며 이 계획의 전면 백지화를 촉구하고 있다.
이들은 지난해 54개 시민단체로 다대포매립반대공동대책위원회를 구성하고 부산시장과 지역 국회의원 등에게 다대포 매립에 대한 입장을 밝혀줄 것을 요구하는 공개 질의서를 보냈다.
또 28, 29일에는 부산시청내 시장실 앞에서 20여명의 회원들이 철야농성을, 100여명의 주민들은 시청밖에서 동조농성을 벌였다.
이들은 시가 공청회 등 여론수렴 절차를 거치지 않은 채 96년 백지화됐던 다대포항 매립계획을 다시 추진하고 있다며 이의 즉각적인 철회를 요구하고 이 계획이 계속 추진될 경우 부산시장에 대한 불신임 운동 등 범시민투쟁을 확대해 나가기로 했다.
이에 대해 항만 전문가들은 “90년대초 다대포지역에 택지개발과 항만개발이 따로 추진되면서부터 이같은 사태가 예견됐다”며 “당국이 문제 해결에 앞장서야 한다”고 지적했다.
92년부터 목재부두로 개발이 추진된 다대포항은 인근 주민들의 민원제기로 매립공사 단계에서 공사가 중단된 상태다.
<부산〓조용휘기자>silent@donga.com
구독
구독
구독 3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