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경북]대구 "교복 공동구매…"시민운동 벌인다

  • 입력 2002년 1월 28일 21시 28분


교복 체육복 졸업앨범 학교매점 같은 ‘교육소비재’의 가격을 합리적으로 결정하자는 운동이 전개되고 있다.

참교육학부모회와 대구참여연대, 대구학교운영위원협의회, 전교조 대구지부 등 7개 단체는 최근 ‘교육소비재 합리화 대책위원회’를 결성하고 학생들이 이용하는 교육소비재의 가격과 품질을 투명하게 결정하도록 적극 나서기로 했다.

대책위는 교육소비재 합리화 운동을 통해 학부모들의 교육비 부담을 줄이고 학교운영의 투명성을 높이자는 취지라며 학교매점과 졸업앨범 입찰제, 교복 및 체육복 공동구매 등을 주요 과제로 설정하고 있다.

이 중 학교매점입찰제는 2월 말 각 학교에서 매점 임대계약을 맺을 때 수의계약보다는 공개입찰을 유도한다는 전략이다. 실제로 대구 S고교의 경우 20년 동안 연간 300만원에 수의계약을 맺어왔으나 최근 이를 입찰제로 바꾸자 임대가격이 3000만원으로 높아졌다.

3년 전부터 시작된 교복 공동구매 비율도 끌어올린다는 계획이다. 지난해 대구지역 30여개 중고교에서 교복을 공동 구매해 20만원선이던 가격을 절반 가량으로 낮췄다.

중학교 신입생의 동복 착용 시기도 2학기로 늦추는 운동도 펼쳐진다. 중학생이 되면 학생들의 체격이 커져 입학 때 입는 교복이 작아질 우려가 높기 때문. 교복과 함께 체육복도 공동 구매를 통해 가격을 낮추는 방안이 모색되고 있다.

졸업앨범도 3월부터 학교별 앨범비교 전시회를 열어 학부모와 교사들의 공감대를 형성해 나가기로 했으며 수학여행비도 정보공개신청과 공청회를 통해 투명하게 결정해 나가기로 했다.

대책위원장인 문혜선(文惠善·42) 참교육학부모회 대구지부장은 “학교운영을 투명하게 하는 일은 교사와 학부모가 힘을 합쳐 이뤄내야 할 중요한 과제”라며 “교육소비재 합리화 운동으로 교육현장의 불투명한 관행을 고쳐나가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대구〓이권효기자 boriam@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