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성환씨는 김대중(金大中) 대통령의 차남인 아태재단 김홍업(金弘業) 부이사장의 고교 및 ROTC 동기로 재단 후원회 운영위원을 지낸 측근 인사. 이 때문에 일부에서는 이 사건이 ‘아태재단 게이트’로 번지는 것이 아니냐는 얘기도 나온다.
특검팀은 이용호씨에게서 5000만원을 받은 이수동씨의 계좌를 역추적하다가 환경미화원 김모씨의 계좌에서 나온 수표 1300만원이 이수동씨 계좌로 들어간 사실을 확인했다.
환경미화원 김씨의 계좌에는 이 돈을 포함해 1억원이 있었고 김씨는 이 계좌의 주인이 김성환씨라고 특검팀에서 진술했다.
이 계좌에 들어 있던 1억원 가운데 추가로 3100만원이 이수동씨의 부인 계좌로 들어갔고 1000만원은 아태재단 연구원들이 사용한 사실이 확인됐다.
특검팀은 이 돈이 이용호씨와 관련이 있는지, 관련이 없다면 어떻게 조성돼 김성환씨와 이수동씨에게 흘러갔는지 조사중이다.
이에 대해 아태재단측은 “지난해 임직원 급여 체계를 연봉제로 전환하면서 모자라는 돈을 김홍업 부이사장이 김성환씨에게서 빌렸는데 그 중 일부가 이수동씨 등에게 건네진 것”이라고 해명했다.
정상적인 자금 거래라는 주장인데 그렇다면 왜 환경미화원의 차명계좌를 사용했을까, 또 김성환씨는 왜 잠적했는가. 이런 점 때문에 이 해명은 설득력이 떨어진다.
특검팀은 이 돈이 어떤 식으로든지 비리에 연루된 자금일 가능성이 크다고 보고 있다. 특히 이수동씨가 김성환씨와 함께 아태재단의 ‘실세’로 각종 인사 및 국정에 개입하고 대가로 받은 돈일 가능성도 있다고 보고 있다.
특검팀은 이 부분을 직접 수사하는 방안과 검찰에 넘겨 수사토록 하는 방안을 검토중이다. 자금 출처와 사용처를 확인하는 과정에서 아태재단 관계자들의 연루 사실이 드러나면 파장은 예측하기 어려울 정도로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
이수형기자 sooh@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