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찰은 주식 보유 현황이 담긴 자료를 입수해 정밀 분석하면서 차명 보유자 가운데 정관계 인사와 관련 있는 명단을 뽑고 있으며 일부 의심스러운 인사들의 출국을 금지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와 관련해 TPI 전 직원 A씨는 “사업 초기 TPI의 지분을 보유하고 있던 D사와 V사의 주식이 정치권에 살포됐다”고 말해 검찰 수사가 불가피한 것으로 보인다.
▼관련기사▼ |
- TPI, 정치권 3단계 로비흔적 |
A씨에 따르면 주식을 받은 사람들은 대부분 전현직 의원과 보좌진 및 정부 부처 관계자들로 주식을 차명으로 보유했다는 것이다.
검찰은 TPI와 TPI 대표 송재빈(宋在斌)씨 등 관계자들의 계좌에서 복표사업자 선정 관련법 개정과 사업자 선정을 전후해 빠져나간 돈이 정관계 인사 및 주변 인사들에게 전달됐는지도 조사중이다.
송씨는 검찰에서 “여야 의원들을 상대로 사업 설명회를 열고 국회 문화관광위 소속 의원들을 만나 사업 관련 부탁을 했지만 불법적인 정치자금이나 대가성 있는 주식을 전달한 적은 없다”고 진술했다.
한편 검찰은 도피중인 김희완(金熙完) 전 서울시 정무부시장을 검거하기 위해 서울지검 특수3부 조주태(趙柱太) 부부장을 주임검사로 한 검거 전담반을 투입했다고 밝혔다.
김 전 부시장은 송씨에게서 복표 사업자 선정 청탁과 함께 TPI 주식 2만여주를 받고 여야 정치인과 문화관광부 등에 로비를 한 의혹을 받고 있다.
이명건기자 gun43@donga.com
이상록기자 myzodan@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