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마 예정자들은 아직 후보 등록이 확정되지도 않은 상태에서 유권자를 은밀히 접촉하면서 지지를 호소하는가 하면 상대방에 대한 음해성 소문을 퍼뜨리는 등 사전 불법선거운동을 일삼고 있다.
이들은 또 학교장과 학교운영위원장을 상대로 출신학교와 지연 등을 내세우며 당선될 경우 특정 보직이나 혜택을 주겠다며 도와달라는 부탁을 공공연히 하고 있는 실정이다. 교육감 선출권을 가진 학교운영위원은 초중고 학부모 교원 대표 8700여명으로 구성돼 있다.
이 때문에 학부모와 교원의 손으로 교육감을 선출한다는 본래의 취지가 퇴색되고 있으며 예비 후보들은 교육정책을 제시하기보다는 학연과 지연, 조직을 동원해 편가르기 식 선거운동에 더 열을 올리고 있다. 장학사 등 일부 전문직과 교사들도 특정 예비 후보를 위한 선거운동에 나서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출마를 준비중인 한 교육계 인사는 “주위에서 출마를 포기하라는 온갖 압력과 비방이 들어와 견디기 어려울 정도”라고 말했다. 또 다른 출마 예정자는 “불미스러운 일로 입건된 적이 있다는 소문이 나돌고 있어 괴롭다”고 털어놨다.
교육감 선거가 혼탁해지고 있는 이유는 특정된 유권자를 은밀히 접촉할 수 있는 데다 후보를 알리고 검증할 수 있는 기회가 너무 제약돼 있기 때문이라는 지적이 많다.
내달 1일 후보등록을 한 이후 합법적으로 할 수 있는 선거운동은 각 후보가 경북지역 4개 권역의 유권자에게 20분씩 소견을 발표하는 것과 유권자에게 인쇄물을 우송하는 게 전부다.
지금까지 도교육감 출마 의사를 분명히 밝힌 교육계 인사는 도승회(都升會·67) 현 교육감, 류용원(柳龍原·59) 경북교육연수원장, 김대곤(金大坤·62) 고령 우곡중 교장, 이병렬(李秉烈·62) 전 교육국장, 권승훈(權勝勳·53) 전 경북도교육위원 등 5명이다.
한편 교육감 선거관리를 맡고 있는 경북도선거관리위원회는 20일 대책회의를 열고 예상 후보들에게 대한 사전선거운동 감시에 들어갔다.
경북선관위 관계자는 “예상 후보들의 움직임을 감시하고 있으나 워낙 교묘하게 사전선거운동을 하고 있어 솔직히 단속이 쉽지 않다”고 말했다.
대구〓이권효기자 boriam@donga.com
구독
구독
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