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지하 공간 적극 개발”…건교부 발전소등 활용 추진

  • 입력 2002년 6월 22일 19시 21분


정부는 도심의 토지 부족을 해소하기 위해 지하도시 건설을 적극 추진하기로 했다.

건설교통부는 22일 “서울 부산 등 대도시는 물론 중소지방 도시에서도 도심지의 개발 수요는 점차 커지지만 여유 토지 부족으로 땅값이 급등하고 일부 지역에서는 슬럼화 양상까지 나타나는 부작용이 커지고 있다”며 “이를 해소하기 위해서 지하공간 개발을 추진키로 했다”고 밝혔다.

건교부는 또 “건설 기술의 발달로 지하공간 개발이 쉬워진 데다 토지매입 비용이나 보상비용이 지상의 10분의 1 수준에 불과해 경제성도 높다”고 설명했다.

건교부는 이를 위해 이달 초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에 연구 용역을 의뢰했다.

내년 6월 초 완료될 이 연구에는 단기적으로는 창고, 발전소, 폐기물 처리장 등과 같은 혐오시설 등을 설치하는 공간으로 활용하되 중장기적으로는 공기오염 등으로 황폐해질 지상도시를 대신할 수 있는 지하도시 건설 용지로 이용하는 방안 등이 집중 검토된다.

또 이 같은 연구 결과를 현실화하고 지하공간 개발을 활성화하는 데 필요한 법률 및 행정 시스템 구축 방안 등이 제시될 예정이다.

연구 용역을 주도할 서충원 교수(서울시립대 도시공학과)는 “한국에서 지하공간은 지하철 통로나 지하상가로 활용하는 게 전부이며 이는 캐나다 일본 등 지하공간 개발에 적극적인 선진국과 비교할 때 초보 수준”이라고 평가했다.

서 교수는 또 “개발 공간 부족으로 도심이 외면을 받으면서 슬럼화하고 있는 지방도시에서는 지하공간에 여가활동 공간 등을 배치하면 활기를 되찾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황재성기자 jsonhng@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