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서도 연습이다〓2002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언어영역은 지문이 길고 복잡해 짧은 문장에 익숙한 수험생의 불이익이 컸다. 다양한 독서경험은 긴 지문을 읽고 문제를 파악하는 독해력을 키우는 데 도움이 된다. 논술고사는 긴 지문을 읽고 자신의 견해를 논리적으로 서술하는 문제가 주로 나온다. 다양한 독서를 하고 생각을 논리적으로 정리하는 훈련이 필요하다.
▽어떤 책을 볼까〓학과 공부와 관련된 책을 틈틈이 다양하게 읽어두는 게 좋다. 시간이 없다고 요약본을 읽으면 자신만의 생각을 정리할 수 없게 된다. ‘신경림의 시인을 찾아서’(우리교육)는 현대 시인의 삶과 문학관을 엿볼 수 있는 책. 수학의 기본 개념을 쉽게 설명한 ‘수학귀신’(비룡소), ‘수학의 유혹’(강석진)은 어려운 수학을 재미있게 풀어냈다. 이윤기의 ‘그리스 로마신화’(웅진닷컴), ‘한눈에 보이는 한국지리’(김길남), ‘살아있는 한국사 교과서’(휴머니스트) 등은 사회탐구에 도움이 된다. ‘재미있는 물리여행’(김영사) ‘생명이 있는 것은 다 아름답다’(효형출판) 등은 흥미로운 과학 이야기를 담았다.
▽어떻게 읽을까〓관심이 있는 분야의 책을 골라 읽는 것이 좋다. 너무 난해한 책은 흥미를 반감시킨다. 처음에는 짧고 쉬운 책을 읽으면서 책읽기 습관을 들이고 차츰 전문성이 있고 두꺼운 책으로 옮겨가는 것이 좋다.
독서계획과 독서노트를 작성하는 것도 도움이 된다. 독서계획을 세울 때는 관심 분야의 책을 사전 조사해 목록을 작성하고 시간 배분을 한다. 책을 읽고 난 뒤에는 독서노트를 만들어 저자, 작품배경, 독서 기간, 느낀 점 등을 기록한다. 혼자서 책을 읽는 것보다 친구들과 독서 동아리를 만들어 주제별로 책을 읽고 토론을 벌이는 것이 좋다. 독서 토론은 논리력과 표현력을 기르고 심층면접의 새로운 경향인 집단 토론을 준비하는 데 도움이 된다. 중앙교육진흥연구소 이혜진 논술팀장은 “대입 논술에서는 독서 경험이 풍부할수록 유리하며 자기소개서와 면접 등에서도 수험생의 독서 경험을 간접 평가한다”며 “학과 공부의 부담이 적은 방학 동안 꾸준히 독서량을 늘려야 한다”고 말했다. 박용기자 parky@donga.com
수능 영역별 고교생 권장도서 | ||||
영역 | 도서 | 저자 | 출판사 | 비고 |
언어영역 | 당신들의 천국 | 이청준 | 문학과지성사 | 소록도를 배경으로 한 다양한 인간 군상의 모습을 통해 권력 문제를 다룸 |
신경림의 시인을 찾아서 | 신경림 | 우리교육 | 현대시 대표 시인 22인의 고향과 유적을 답사하며 시세계와 삶을 다룬 산문 모음집 | |
삼대 | 염상섭 | 하서 출판 | 일제강점기 각기 다른 삼대의 삶의 모습을 통해 바람직한 삶의 태도를 생각하게 함 | |
광장 | 최인훈 | 문학과지성사 | 전쟁 포로인 주인공의 삶을 통해 전쟁과 분단에 대해 생각해 보게 함 | |
나무야 나무야 | 신영복 | 돌베개 | 인생과 역사에 대한 글쓴이의 통찰이 돋보임 | |
수리영역 | 수학 귀신 | H.엔젠스베르그 | 비룡소 | 초등생용이지만 고교생이 읽으면 수학의 기본 개념을 쉽게 이해할 수 있음 |
골드바흐의 추측 | 아포스톨로스 독시아디스 | 생각의 나무 | 현상금 100만달러로 유명해진 수학 소설 | |
수학의 유혹 | 강석진 | 문학동네 | 어려운 수학을 생활 속의 이야기로 풀어 낸 책 | |
소설처럼 아름다운 수학 이야기 | 김정희 | 동아일보사 | 정외과 출신의 소설가가 쓴 수학 이야기 | |
자연, 예술, 과학의수학적 원형 | 마이클 슈나이더 | 경문사 | 생활 속의 수학적 원리를 1∼10의 수를 통해 설명 | |
사회탐구 | 이윤기의 그리스 로마 신화 1∼2 | 이윤기 | 웅진닷컴 | 신화의 세계를 우리 정서와 상상력으로 흥미 있게 설명 |
살아 있는 한국사 교과서 1∼2 | 전국역사교사모임 | 휴머니스트 | 과거의 목소리가 생생하게 살아 숨쉬는 대안 교과서 | |
한눈에 보이는 한국지리 | 김길남 | 내일을 여는 책 | 한국 지리에서 다루어지는 다양한 주제 설명 | |
대중 문화의 겉과 속 | 강준만 | 개마고원 | 대중 문화의 문제점을 분석 | |
철도 여행의 역사 | 볼프강 쉬벨부쉬 | 궁리 | 철도의 발달을 통해 본 사회 문화사 | |
과학탐구 | 재미있는 물리 여행1, 2 | 루이스 엡스타인 외 | 김영사 | 물리 이론을 실생활에서 보는 현상으로 해설 |
정재승의 과학 콘서트 | 정재승 | 동아시아 | 사회 현상 이면의 흥미로운 과학 이야기를 알기 쉽게 설명 | |
생명이 있는 것은 다 아름답다 | 최재천 | 효형출판 | 동물의 세계를 사실감 있게 전달 | |
생명코드 AGCT | 과학동아 편집부 | 아카데미서적 | 유전자 발견과 유전공학 관련 문제를 다룸. | |
쉽고 재미 있는 과학의 역사 1∼2 | 에릭 뉴트 | 끌리오 | 과학의 역사를 쉽게 해설 | |
논술면접 | 소유냐 존재냐 | 에리히 프롬 | 범우사 | 건국대 서강대 한양대 입시에서 제시문으로 활용 |
소유의 종말 | 제레미 리프킨 | 민음사 | 현대 사회의 성찰이 돋보여 논술 제시문으로 많이 활용되는 저서 | |
한국의 정체성 | 탁석산 | 책세상 | 철학적 사유를 통해 한국의 정체성을 깊이 있게 접근 | |
사회를 보는 논리 | 김찬호 | 문학과지성사 | 사회 현상의 이면에 가려진 진실을 파악하고 오류를 분석, 토론 거리 제공 | |
나는 파리의 택시 운전사 | 홍세화 | 창작과비평사 | 프랑스와 한국 사회를 비교하여 우리 사회를 객관적으로 고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