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관계자는 6일 "삼일회계법인에 맡겨 지하철공사와 도시철도공사의 부채(6월말 현재 5조107억원)해소 방안과 요금 인상 계획 등을 다시 세워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지하철 1∼4호선을 운영하는 서울시 지하철공사는 이날 시의회 보고를 통해 "운임수준이 원가의 65.5%에 불과해 재무구조를 개선하는데 한계가 있다"고 밝히고 "지하철 요금을 2004년 이후 매년 100원씩 인상해달라"고 건의했다.
공사 관계자는 "서울 지하철의 기본운임 600원은 런던(2698원), 베를린(2415원), 뉴욕(1839원), 도쿄(1582원) 등 외국 주요 도시와 비교해도 턱없이 낮은 수준"이라며 "자구노력만 강조하는 것은 근본적인 대책이 안된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시민단체들은 "요금인상과 세금으로만 지하철 부채를 메우려는 안이한 발상을 버리고 먼저 강도 높은 구조조정을 통해 경영을 개선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서울시는 올 하반기에 지하철 요금은 1구역은 600원에서 700원, 2구역은 700원에서 800원으로 각각 100원씩 인상될 예정이었으나 이명박(李明博) 새 시장의 대중교통요금 동결방침에 따라 묶여있는 상태다.
정경준기자 news91@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