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가 2일 발표한 시내버스 종합대책에 따르면 시는 현재 시내버스 운영의 문제점으로 △시내버스 이용객 감소에 따른 경영악화 △비합리적인 노선체계 △재정적 행정적 지원 미흡 등을 꼽았다.
또 주요 수익노선인 삼산∼노포동, 삼산∼방어진, 율리∼방어진, 율리∼모화 등 4개 구간 20개 노선(전체 123개 노선)에 전체 시내버스(587대)의 42%인 247대가 운행하는 등 시내버스가 ‘돈되는 노선’에 집중 배차돼 외곽지역 시민들의 불편이 가중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는 이에 따라 지난해 시내버스 회사에 총 25억8100만원의 보조금을 지원했으나 올해는 21억7700만원(84%)이 늘어난 47억5800만원을, 내년에는 올해보다 17억4200만원(37%) 증액된 65억원을 지원키로 했다.
내년에 지원할 보조금은 △학생과 교통카드 할인 보조금 30억원 △기름값 인상분 9억원 △노후차량 폐차비 3억원 등이다.
또 버스회사 경영개선을 위해 비수익 노선을 폐지하거나 감차(減車)키로 한것과는 별도로 내년에 오지 및 비수익노선 지원비로 21억원을 책정했다.
특히 시는 6월 한국산업관계연구원에 의뢰한 용역조사에서 650원(일반 성인기준)인 요금을 723원으로 11.2% 인상해야 한다는 결과가 나옴에 따라 11월 중 시민의견 수렴절차를 거쳐 요금인상폭을 결정키로 했다.
이에 대해 대다수 시민들은 “시내버스 회사에 대폭적인 재정지원을 하는 것과는 별도로 요금을 인상하는 것은 엄청난 특혜”라며 “서비스 개선이 전제되지 않으면 재정지원과 요금인상은 보류해야 한다”고 밝혔다.
울산〓정재락기자 jrjung@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