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전남도의회와 목포대 정치발전연구소가 공동 주최한 ‘지방의회 발전방안 모색을 위한 연찬회’에서 목포대 정치외교학과 김영태(金榮泰) 교수는 “지방의회의 의정이 전반적으로 부실하다”고 주장했다.
김 교수가 민선 3기 전남도의회 하반기(2000년 7월∼2002년 4월)에 처리된 조례안 109건을 분석한 결과 집행부가 발의한 조례안이 96건(88%)이었고 의원발의 조례안은 13건(11.9%)에 불과했다.
광주시의회는 이 기간동안 총 137건 중 8%인 11건만이 의원 발의 조례안이었다.
특히 도의회 조례안 가운데 80.7%인 88건이 원안대로 가결됐고 심의를 거쳐 수정 의결된 조례안은 17건(19.3%)에 불과했으며 시의회도 수정된 조례안이 33건(24.1%)이었다.
또 하반기 도의회 본회의에서 도정 질의가 44차례에 불과, 의원 1인당 평균 0.8회로 저조한 수준이었으며 단 한차례도 질문하지 않은 의원도 33.7%인 20명에 이르렀다. 시의회도 의원 1인당 평균 시정 질의 횟수가 1.3회에 그쳤다.
김 교수는 “광역의회 활성화를 위해서는 유급보좌관제 및 전문위원 증원, 의원연수 강화 등 제도적인 개선책이 요구된다”고 말했다.
지방의회가 정보화시대에 역행하고 있다는 주장도 제기됐다.
목포 경실련 김종익(金鍾益) 사무국장은 ‘광주전남 기초의회의 문제점과 운영개선 과제’라는 주제발표를 통해 광주전남지역 27개 기초의회 중 14개(51.9%)가 홈페이지에 회의록을 공개하지 않고 있다고 밝혔다.
또 홈페이지에 주민과의 대화통로이자 의견수렴 창구인 ‘자유게시판’이 없는 곳도 11개(40.7%)에 달한 것으로 조사됐다.
광주〓정승호기자 shjung@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