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러나 갯벌 유실 등 환경 파괴를 우려해 사업 자체를 반대해 온 환경단체와 종교계 등이 ‘용도 변경계획’에 강력히 반대할 것으로 예상돼 앞으로도 진통이 불가피해 보인다.
노 당선자는 11일 전북대에서 열린 ‘지방분권과 국가균형발전 국정토론회’에서 “친환경적 개발이라는 원칙은 지켜 나가되 쌀 재고가 넘쳐 정부 보상금을 받는 휴경 농지가 새만금 간척지보다 몇 배나 되는 상황에서 이 곳에 벼를 재배한다는 당초 정책은 재검토돼야 한다”며 간척지 내부 이용계획 변경을 주문했다.
노 당선자는 “간척지를 얼마나 간척해 개발하고, 어떻게 활용할지를 새롭게 검토해야 한다”며 “이런 점에서 지방의 전략이 대단히 중요하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토론회에 참석한 민주당 정세균(丁世均) 정책위의장에게 새로운 새만금 개발 구상에 관한 당과 정부 차원의 추진기구 구성을 주문하고 “중앙정부도 거기에 맞춰 실무기구를 만들겠다”고 밝혔다.
전북도는 이에 대해 “지금까지 정부사업이라는 이유로 사업 추진과 내부 이용계획 마련 등에서 소외됐던 전북이 주도적으로 계획을 수립하고 이용방안을 논의할 수 있게 됐다”면서 새만금사업과 관련한 구체적인 준비 작업에 착수했다.
강현욱(姜賢旭)전북지사는 12일 “노당선자가 50년 앞을 내다 보고 장기적인 계획을 세우라고 말했다”며 “새로 출범하는 전북경제사회발전연구원을 주축으로 환경단체를 포함한 각 분야의 전문가들을 참여시켜 개발이 끝난 후의 이용 계획을 수립하겠다”고 밝혔다.
강 지사는 “새만금지역이 동북아시대를 맞아 환황해권의 중심지 역할을 해야 한다”며 내부 용도로 △국제적 규모의 새만금 신항만 건설 △대중국 물류단지 △식품 콤비나트(집적화 단지) △첨단 농업단지 △관광 레저단지 등을 고려하고 있다고 밝혔다.
1991년 착수된 새만금 종합개발사업은 전북 부안군 변산면에서 군산을 잇는 세계 최장 33㎞의 방조제를 쌓아 1억2000만평(여의도 140배)의 해수면을 육지로 개발하는 사업.
2006년까지 1조 9417억원 투자돼 방조제가 완공되면 담수호 3500만평과 토지 8500만평이 생긴다.
현재 방조제는 28.5㎞가 막아져 방조제 공사만 80%의 공정률을 보이고 있으며 두 개의 배수갑문 가운데 가력배수갑문은 완공되고 신시배수갑문은 30%의 공정률을 보이고 있다.
이 사업은 환경단체와 일부 주민들의 반발로 99년 공사가 중단됐다가 2001년 대통령 자문기구의 결정으로 2001년 공사가 속개됐으나 국내외 환경단체와 시민단체, 종교계등의 반발이 여전히 강한 상태다.
전주=김광오기자 kokim@donga.com
구독
구독
구독 26
댓글 0